책소개
남회근 저작선 11권. 유가와 도가가 나누어지지 않았던 도통道統의 시대, 담백하고 논리정연하고 정채로운 '원본' 『대학』을 강의한다.『대학』은 내면의 학문 수양을 통해 이치를 밝히고 본성을 실현하여 그것으로가까운 사람들, 나아가 세상을 이롭게 함을 드러낸 책이다.
목차
옮긴이 말
이 책을 읽기 전에
원본 대학
제1편 개종명의
1 하버드대 교수의 방문
2 오랜 억울함을 풀 길 없는 사서
3 농촌 교육을 책임지던 시골 서생
4 아동 계몽 교육에 관해 분석하다
5 소리 내어 읽고 외우는 독서법
6 세 문자를 알아야 중국 문화를 이해한다
7 대인의 학문에 관해 살펴보다
8 고대 중원 문화의 정수
9 『대학』 수양의 순서
10 주희가 주제넘게 『대학』을 고쳤다
11 “밝은 덕을 밝힌다”는 무엇을 밝히는 것인가
제2편 칠증의 수양
12 천고에 밝히기 어려운 것은 스스로를 ‘아는’ 것
13 끊임없이 흘러 ‘멈추지’ 않으니 왜 그러한가
14 정말로 말하기 어려운 것은 ‘정’이다
15 “평온하여 먼 데까지 이른다”는 것은
16 어디에도 없는 마음을 편안하게 해 주다
17 내명의 수양으로 ‘밝은 덕’을 깨닫는 이치
제3편 내명의 학문
18 영원한 제왕의 학문
19 먼저 할 바와 나중에 할 바를 아는 지성
20 치지와 격물
21 지혜가 만물은 알되 자신을 알기는 어렵다
22 물욕은 스스로를 가엾게 만들 뿐이다
23 몸과 마음에 대한 바른 지식과 물화
24 성의, 정심, 수신과 지지
25 요순은 오지 않고 주공은 멀기만 하다
제4편 외용의 학문
26 삼대 이후의 제왕과 평민
27 제왕의 표본이 되었던 제 환공
28 가련한 신세의 패군 진시황
29 진시황의 치국의 도를 공평하게 논의하다
30 역대로 수신제가했던 제왕이 몇이나 되는가
31 천하를 평정한 유방도 집안은 다스리지 못했다
32 백성에게 자애로웠던 한 문제
제5편 내외겸수의 도
33 그 뜻을 깨끗이 하는 데서 시작하다
34 몸을 닦는 것과 마음을 바르게 하는 것
35 중국 전통문화의 대가정
36 집집마다 해결하기 어려운 일들이 있다
제6편 집안을 가지런히 하고 나라를 다스리다
37 수신의 도가 제가에 있다는 것에 대하여
38 주나라 왕실의 치국제가에 관한 고사
39 나라를 다스리는 주인이 되는 원칙
40 법치와 치법
41 『시경』은 어떻게 말하고 있는가
42 돌을 깎아 하늘을 받친 것은 모성 때문이었다
43 치국제가하려면 현명한 여성이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