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강 한국어 교육에서 고려해야 할 가치
1. 사용 빈도에 주목한다
1) 자모 교육의 예
2) 시대 변화의 흐름에 맞는 교육
2. 표현과 이해를 분리하여 생각한다
1) 속담의 예
2) 의성어, 의태어의 예
3) 기능에 따른 교육의 예
3. 규범성과 함께 자연스러움도 중요하다
1) 표기법과 발음의 문제
2) 한국인의 오류 표현
4. 규칙을 단순화하여야 한다
1) 높임법의 예
2) 발음의 예
5. 문화 교육은 언어 교육과 관련된 부분을 제시하여야 한다
6. 마무리
1) 한국어에 관심을 갖자
2) 한국어에 담겨 있는 가치를 전달하자
제2강 어떻게 한국어를 소개할까?
1. 한국어, 세계 13위의 언어
1) 재외동포인가, 해외동포인가
2) 재외동포는 우리의 힘
2. 한글
1) 자음
2) 모음
3) 음운
3. 한글과 어휘
제3강 한국어 어휘와 한국인의 사고 교육
1. 우리말에는 우리가 있다
2. 우리말을 보는 방법 1: 명사와 용언의 관계
1) 신체
2) 색채
3. 우리말을 보는 방법 2: 모음 교체와 어휘 형성
1) 사람을 지칭하는 어휘의 모음 교체
2) 사람과 물건에 따른 모음 교체
4. 깨달음을 주는 우리말
1) 깨달음을 주는 우리말 ‘잘’
2) 한국 사람에게 ‘사랑하다’는 ‘생각하다’
3) 나쁘다는 말은?
4) 돌보는 것과 보는 것의 차이
제4강 한국어 어휘와 한국의 문화
1. 우리말과 ‘버릇’ 문화
2. 우리말과 ‘숟가락’ 문화
3. 우리말과 ‘온돌’ 문화
4. 우리말과 ‘재미’ 문화
5. 한국 문화를 나타내는 여러 표현들
1) 점잖다와 어리다
2) 한국인이 좋아하는 어휘 1 : 시원하다
3) 한국인이 좋아하는 어휘 2 : 구수하다
6. 한자어를 통한 가치 교육
1) 동정(同情)
2) 덕분(德分)
3) 한심(寒心)
7. 강의를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