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서론_ 여성주의 번역(문학)사를 다시 세우기 위하여
위태로운 정체성, 횡단하는 경계인 - ‘여성 번역가/번역’ 연구를 위하여 / 박지영
1. 한국여성(번역)문학사, ‘여성 번역가’ 호출하기
2. 여성 번역가의 탄생과 존재 양태
3. 맺음말
1부_ 젠더와 번역, 그리고 고전 여성 지식(문화)사
조선시대 규훈서 번역과 여성의 문자문화 / 이지영
1. 머리말
2. 언해본의 간행과 여성의 문자교육
3. 필사본에 수용된 규훈서
4. 규훈서의 수용과 이탈
5. 맺음말
한글 고전 대하소설 속 번역 한시문과 교양 지식의 체험 / 서정민
1. 머리말
2. 한글 대하소설 속의 번역 한시문
3. 한시문 번역 수용의 배경과 의미
4. 맺음말
중국소설 번안에 나타나는 여성형상 변개의 일양상 - 정숙·정조의 강화 / 박상석
1. 머리말
2. 중국소설과 한국 번안작의 여성형상 비교
3. 여성형상 변개의 배경
4. 맺음말
2부_ 젠더와 번역, 그리고 근대 여성 지식(문화)사
‘가정소설’의 번역과 젠더의 기획 - 여성 번역문학사 정립을 위한 시론 / 김연숙
1. 번역과 젠더
2. 『호토토기스』의 번역/번안 과정
3. 가정소설의 번역과 감정의 성별화
4. 가정소설의 번역과 여성의 형성
아일랜드 번역과 민족문학 상상의 젠더 / 김복순
1. 아일랜드의 호명과 탈식민 전략으로서의 ‘차이’
2. 아일랜드 문학에 대한 네 가지 번역 방식
3. 맺음말
‘노라’의 조선적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채만식의 『인형의 집을 나와서』를 중심으로 / 김양선
1. 문제제기-식민 현실과 여성 현실의 접점 찾기
2. <인형의 집>의 수용상황과 조선의 ‘노라’
3. 집밖의 노라, 식민지 자본주의의 모순을 몸으로 경험하다
4. 사회주의 여성해방론의 소설화와 그 한계 - 성적 주체와 계급적 주체의 이원화
5. 맺음말
번역 텍스트의 젠더화와 여성의 모더니티 - 『신여성』을 중심으로 / 김윤선
1. 머리말
2. 번역 텍스트의 젠더화
3. 엇갈린 주체, 선택된 젠더
4. 왜곡된 젠더, 젠더의 번역화
5. 맺음말 - 남은 과제
근대적 번역행위의 동인과 번역양상 - 이화여전 교지 『이화』를 중심으로 / 강소영·윤정화
1. 머리말
2. 근대 지식과의 조우-1920∼30년대 여성 번역인의 장, 『이화』
3. 맺음말-번역창작 주체로서의 여성의 발견
3부__젠더와 번역, 그리고 현대 여성 지식(문화)사
해방기 펄 벅 수용과 남한여성의 입지 / 류진희
1. 머리말
2. 해방기 동서, 두 세계의 펄 벅
3. 펄 벅 번역과 남한여성의 인도주의
4. 맺음말
번역을 통한 근대 지성의 유통과 젠더 담론 - 『여원』을 중심으로 / 장미영
1. 머리말
2. 번역소설과 이상적 젠더 기획
3. 번역수기에 의한 코스모폴리터니즘적 정체성 추구
4. 동화와 위인전기를 통한 젠더 질서의 상징화
5. 맺음말
1980년대 여성해방운동과 번역의 역설 / 허 윤
1. 1980년대 여성해방운동과 ‘제2의 물결’의 번역
2. 교양교육운동으로서의 여성해방이론과 문제의식의 공유
3. 문화운동으로서의 여성해방이론과 페다고지의 개발
4. 계급운동으로서의 여성해방이론과 편역서의 기획
5. 민족해방운동으로서의 여성해방운동과 ‘제3세계’의 기획
6. 맺음말-여성해방운동의 (탈)식민성
성차에 따른 성담론 번역 양상 비교 - 셰익스피어의 『오셀로』 번역을 중심으로 / 권오숙
1. 머리말
2. 언어, 번역 그리고 젠더
3. 『오셀로』 번역 텍스트들에 나타난 성별에 따른 번역의 차이
4. 맺음말
참고문헌
초출일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