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착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영화제 전공자이자 전문가이면서 부산국제영화제에 근무했던 저자가 영화제를 만드는 입장과 관객의 입장 모든 시각에서 쓴 책이다. 영화제에 대한 대중들이 갖고 있는 상식적인 궁금증에서부터 영상문화 전반에 관한 전문지식까지 아우르고 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프롤로그

PART 1 영화제의 모든 것
1. 인류의 매력적인 발명품, 영화제
아주 특별한 스크린 체험
예술이냐 산업이냐
영화제의 변신은 무죄
2. 영화제 역사는 격동의 세계사
서유럽 주요 영화제의 탄생: 이보다 더 정치적일 수는 없다
북미의 영화제
서구 밖의 영화제들: 동유럽과 아시아
3. 아카데미 시상식도 영화제일까: 너무 많아 어려운 영화제 분류
공식분류: 국제영화제작자연맹의 기준에 따른 분류
우열을 가리느냐 그냥 즐기느냐: 영화제 성격에 따른 분류
참여 주체 특성에 따른 분류
영화 장르에 따른 분류
시대를 반영하는 다양한 영화제 분류법
4. 영화제의 시간성과 공간성: 영화제 캘린더와 글로벌 도시
끼어들기의 미학: 영화제 캘린더와 경쟁 시스템
도시를 부자로 만드는 영화제: 글로벌 도시와 영화제
5. 죽느냐 사느냐!: 영화제의 성공과 실패
타이밍의 경제학: 영화제 개최 시기
튀는 색깔을 정해라
영화제의 심장, 프로그래밍
영화제도 조직이다
끝가지 밀어줄 지원군이 반드시 필요하다
돈벌어주는 영화제: 필름마켓
재미있는 파티도 성공 요인이다
6. 글로벌 영화제의 최신 동향
일단 덩치부터 키운다: 규모의 확장
넓은 ‘지역’의 영화를 대표해야 살아남는다
지역 영화산업을 위한 연대: 영화제 네트워크
다음 세대 준비가 시급하다: 지역 영상 커뮤니티 강화
미래를 고민하는 영화제의 인재양성프로그램

PART 2 세계적인 영화제, 세계 속의 한국영화
7. 베니스 영화제: 가장 오래된 영화제
물 위에 세워진 빛의 도시, 시네마 천국
영화 예술과 파시즘 사이의 줄타기
히틀러를 화나게 한 프랑스 영화
1950년대: 아시아 영화 발굴을 통한 도약
1960년대: 유럽 예술영화와 베니스
1970~80년대: ‘예술’의 무거움을 벗어던지다
1990년대 이후: 할리우드 스타는 흥행의 보증수표
고색창연한 영화제에서 모던하고 혁신적인 영화제로
주요 상영 및 시상 부문
8. 칸 영화제: 오만한 영화제의 제왕
칸의 빈 의자
“나는 세계의 제왕이다(I am the king of the world!)”
격동기 세계사와 칸영화제의 태동
전후 프랑스의 자존심과 파리 5월 혁명의 정신
1983년 그랜드 팔레 시대
칸에게 오라, 거장부터 신인까지
잘해야 본전
까다로운 칸의 취향과 예술영화 논쟁
우리 영화제 오니? 그럼 배지 등급에 따라 줄 서!
필름마켓(Marché du Film)
예술과 산업, 둘 중 하나도 버릴 수 없다
프로듀서 네트워크(The Producers Network)
시네폰데이션(Cinéfondation/시네파운데이션)
레지던스(The Résidence)
아틀리에(The Atelier)
주요 상영 및 시상 부문
9. 베를린 영화제: 견고하고 사려 깊은 영화제
영화제 캘린더의 첫 페이지를 여는 영화제
개최시기를 겨울로 옮기기 위한 투쟁
추위와 폭설도 베를린영화제만의 매력
동서 냉전의 정치학과 도시 베를린
프로그래밍의 위기와 포럼의 탄생
할리우드, 할리우드!
유럽에서 가장 ‘핫’한 영화제
높아진 마켓의 위상, 공동제작시장의 중심지
‘영원한 2등’ 영화제?
주요 상영 및 시상 부문
10. 세계 영화제와 한국영화: 세계 3대 영화제와 한국영화의 각별한 인연
두드려라, 열릴 것이다
“홍상수는 즐거움을 찍고, 이창동은 괴로움을 찍는다”
유럽 스타일과 한국적 독창성의 다른 만남: 홍상수와 김기덕
‘올드 보이’ 박찬욱 감독, 국제영화제의 뒤늦은 환대
응답하라, 영화제여!
베니스영화제와 한국영화: 김기덕 감독, 베니스의 인장을 새기다
칸, 너만을 사랑해: 한국영화의 칸영화제 편애
한국영화의 오랜 친구, 베를린영화제
우리가 더 잘해요! 새로운 세대의 등장

PART 3 동아시아의 영화제
11. 두 도시 이야기, 두 영화제 이야기
아시아 영화제, 세계 영화 지도를 다시 그리다
잔치는 시작되었다
8개의 도시, 8개의 영화제 이야기
12. 홍콩과 부산: 노스탤지어와 비전의 대결
화양연화를 꿈꾸며: 홍콩국제영화제
거친 항구도시에서 아시아 최고의 영화제 도시로: 부산국제영화제
13. 도쿄와 상하이: 아시아에서 A급 영화제로 산다는 건
A급, 특권이냐 굴레냐: 도쿄국제영화제
뚜렷한 취향의 작지만 옹골찬 영화제: 도쿄필름엑스영화제
아시아의 다크호스, 거대한 날개를 펄럭이다: 상하이영화제
14. 타이페이와 싱가포르: 작은 섬이 있었네, 영화제가 있었네
도시를 앞세울 수밖에 없는 숙명: 타이페이영화제
싱가포르에서 영화 보신 적 있으세요?: 싱가포르영화제
15. 부천과 유바리: 환상 여행을 떠나자!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눈쌓인 북쪽 마을에서 환상의 영화 여행을!: 유바리영화제

에필로그

부록
세계 3대 영화제
세계 시네마테크의 사례
시네마테크의 유형 및 영화제와의 관계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사랑하는 장면이 내게로 왔다  사랑하는 장면이 내게로 왔다 2023 / 지음: 서이제 , 이지수 / 마음산책
(무비꼴라쥬)시네마 톡 : 영화가 끝난 뒤 시작되는 진짜 영화 이야기 (무비꼴라쥬)시네마 톡 : 영화가 끝난 뒤 시작되는 진짜 영화 이야기 2012 / 김영진 [외] 지음 ; 황희연 엮음 / 씨네21북스
(무비꼴라쥬)시네마 톡 : 영화가 끝난 뒤 시작되는 진짜 영화 이야기 (무비꼴라쥬)시네마 톡 : 영화가 끝난 뒤 시작되는 진짜 영화 이야기 2012 / 김영진 [외] 지음 ; 황희연 엮음 / 씨네21북스
로마에서 말하다  : 아들 안토니오 시모네와 나눈 영화 이야기 로마에서 말하다 : 아들 안토니오 시모네와 나눈 영화 이야기 2010 / 시오노 나나미 ; 안토니오 시모네 지음 ; 김난주 옮김 / 한길사
극장 앞에서 만나: 교차와 연대의 영화들 극장 앞에서 만나: 교차와 연대의 영화들 2023 / 지음: 신승은 / 오월의봄
도모하는 힘  : CBS FM '신영음' 신지혜 아나운서의 영화에서 발견한 인생의 방식 도모하는 힘 : CBS FM '신영음' 신지혜 아나운서의 영화에서 발견한 인생의 방식 2009 / 신지혜 글·사진 / 에디션더블유
시네마 레터  : 영화 속 누군가가 누군가에게 보내는 편지 시네마 레터 : 영화 속 누군가가 누군가에게 보내는 편지 2009 / 신지혜, 최지영 지음 / 루비박스
레드카펫  : 웰컴 투 필름페스티벌 레드카펫 : 웰컴 투 필름페스티벌 2014 / 안수정 지음 / 명인문화사
나의 다큐멘터리 제작기 : 치열했던 감독 생활 50년의 기억과 기록 나의 다큐멘터리 제작기 : 치열했던 감독 생활 50년의 기억과 기록 2024 / 지음: 안태근 / 크루
스쳐가는 모든 것들 사이에서 버텨가는  : 삶을 위로하는 40편의 영화 스쳐가는 모든 것들 사이에서 버텨가는 : 삶을 위로하는 40편의 영화 2018 / 지은이: 양유창 / 꿈꾼문고
영화 같은 시간 영화 같은 시간 2013 / 지은이: 김소영 ; 김희진 ; 박진희 ; 변병준 ; 봉준호 ; 오승욱 ; 전종혁 ; 정용준 ; 정우열 ; 정지우 ; 조성희 ; 최동훈 / 이음
영화 같은 시간 영화 같은 시간 2013 / 지은이: 김소영 ; 김희진 ; 박진희 ; 변병준 ; 봉준호 ; 오승욱 ; 전종혁 ; 정용준 ; 정우열 ; 정지우 ; 조성희 ; 최동훈 / 이음
영화평도 리콜이 되나요? : 우리가 영화를 애정하는 방법들 영화평도 리콜이 되나요? : 우리가 영화를 애정하는 방법들 2022 / 지은이: 김도훈, 김미연, 배순탁, 이화정, 주성철 / 푸른숲
영화로 읽는 도시 이야기 영화로 읽는 도시 이야기 2020 / 서곡숙, 서성희 외 지음 / 르몽드코리아(Le Monde)
성덕일기: 오세연의 필름 에세이 성덕일기: 오세연의 필름 에세이 2022 / 지음: 오세연; 일러스트: 이베리 / 이봄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지리 선생님, 스크린에 풍덩 지리 선생님, 스크린에 풍덩 2017 / 지음: 전국사회과교과연구회 / 서해문집
허생의 섬, 연암의 아나키즘  : 강명관의 파격적인 허생 강독 허생의 섬, 연암의 아나키즘 : 강명관의 파격적인 허생 강독 2017 / 지음: 강명관 / Humanist(휴머니스트 출판그룹)
팝콘을 든 CEO : 영화전문기자 이승재의 스크린 경영학 팝콘을 든 CEO : 영화전문기자 이승재의 스크린 경영학 2012 / 이승재 지음 / 나남
아사의 나라  : 유홍종 장편소설 아사의 나라 : 유홍종 장편소설 2009 / 유홍종 지음 / 문예출판사
(무비꼴라쥬)시네마 톡 : 영화가 끝난 뒤 시작되는 진짜 영화 이야기 (무비꼴라쥬)시네마 톡 : 영화가 끝난 뒤 시작되는 진짜 영화 이야기 2012 / 김영진 [외] 지음 ; 황희연 엮음 / 씨네21북스
청소년을 위한 영화만들기  : 단편영화 하나 끝내기 청소년을 위한 영화만들기 : 단편영화 하나 끝내기 2010 / 트로이 라니어 ; 클레이 니컬스 지음 ; 박예하 옮김 / 걷다출판사
데뷔의 순간 : 영화감독 17인이 들려주는 나의 청춘분투기 데뷔의 순간 : 영화감독 17인이 들려주는 나의 청춘분투기 2014 / 한국영화감독조합 제공, 주성철...[등]엮음 / 푸른숲
(영화.TV의)화면구성 (영화.TV의)화면구성 2000 / 피터 와드 지음 ; 김창유 옮김 / 책과길
고전문장론과 연암 박지원 고전문장론과 연암 박지원 2010 / 정민 지음 / 태학사
연암과 선귤당의 대화 : 연암과 선귤당의 대화 : "종복소선"의 평점비평 연구 2010 / 박희병 지음 / 돌베개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영화는 두 번 시작된다 : 이동진 영화평론집 2019~1999 영화는 두 번 시작된다 : 이동진 영화평론집 2019~1999 2019 / 지음: 이동진 / 위즈덤하우스
조선영화와 할리우드 = Chosun cinema and Hollywood 조선영화와 할리우드 = Chosun cinema and Hollywood 2014 / 연구모임 시네마바벨 편 / 소명
아시아 다큐멘터리의 오늘 = Asian documentary today : 허구가 아닌 현실 아시아 다큐멘터리의 오늘 = Asian documentary today : 허구가 아닌 현실 2013 / 아시아 다큐멘터리 네트워크 편저 / 본북스
영화로 더 나은 세상을 꿈꾸다 영화로 더 나은 세상을 꿈꾸다 2018 / 지은이: 변영주 / 창비
영화를 바라보다 : 할리우드 영화의 돈과 정치 이야기 영화를 바라보다 : 할리우드 영화의 돈과 정치 이야기 2014 / 김화진 지음 / 휴먼큐브
영화가 부모에게 답하다 : 청소년과 부모가 영화로 소통하는 인문학 이야기 영화가 부모에게 답하다 : 청소년과 부모가 영화로 소통하는 인문학 이야기 2014 / 최하진 지음 / 국민
영화 비평 : 이론과 실제 영화 비평 : 이론과 실제 2019 / 지음: 강성률 / 아모르문디
필름, 뉴욕 : 영화로 만나는 도시 필름, 뉴욕 : 영화로 만나는 도시 2014 / 스콧 조던 해리스 지음 ; 채윤 옮김 / 낭만북스
허구가 아닌 현실 = Asian Documentary Today : 아시아 다큐멘터리의 오늘 허구가 아닌 현실 = Asian Documentary Today : 아시아 다큐멘터리의 오늘 2012 / 아시아 다큐멘터리 네트워크 편저 / 본북스
잊혀진 중앙아시아의 뉴웨이브 영화 = (The)unknown new wave of Central Asian cinema 잊혀진 중앙아시아의 뉴웨이브 영화 = (The)unknown new wave of Central Asian cinema 2013 / 부산국제영화제 편저 / 본북스
렌즈 속의 인류 : 민족지영화와 그 거장들 렌즈 속의 인류 : 민족지영화와 그 거장들 2014 / 이기중 지음 / 눌민
씨네샹떼 : 세계 영화사의 걸작 25편, 두 개의 시선, 또 하나의 미래 씨네샹떼 : 세계 영화사의 걸작 25편, 두 개의 시선, 또 하나의 미래 2015 / 강신주, 이상용 지음 / 민음사
시네필 다이어리  : 철학자와 영화의 만남 : cinema+philosophy. 1 시네필 다이어리 : 철학자와 영화의 만남 : cinema+philosophy. 1 2010 / 정여울 / 자음과모음
영상으로 읽는 미국문화의 안과 밖 영상으로 읽는 미국문화의 안과 밖 2013 / 백승진 지음 / 경상대학교 출판부
영화 읽어주는 인문학 영화 읽어주는 인문학 2014 / 안용태 지음 / 생각의길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1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