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문학사들이 얼마나 지방문학의 변화 실상을 염두에 두고 기술되었는가를 검토한 글 제1장 '우리 문학사의 지역문학 인식', 순천 지역에서 전개된 근대문학의 실상을 조사.연구한 제2장 '순천 지역의 근대문학' 등으로 구성되었다.
목차
머리말
서장 남도문화,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제1장 우리 문학사의 지역문학 인식호남지역문학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단일 공간 모형 1) 실증적 문학사의 경우 2) 민족주의적 문학사의 경우 3) 사회경제적 문학사의 경우 4) 정신사적 문학사의 경우 3. 지방적 공간 모형 1) 실증적 문학사의 경우 2) 정신사적 문학사의 경우 4. 맺음말
제2장 순천 지역의 근대문학 1. 근대 지역문학 이해의 전제 2. 일제 강점기의 문학 3. 광복 이후의 문학
<보론> 순천향교(順天鄕校)와 순천 지역의 중세문학 1. 머리말 2. 향교(鄕校)와 중세 문학교육 1) 교육기관으로서의 향교 2) 향교의 문학교육 3. 『승평지』와 『강남악부』의 문학사적 의의 1) 『승평지(昇平誌)』의 문학 관련 편목 2) 『강남악부(江南樂府)』와 악부문학(樂府文學) 4. 맺음말
제3장 여수 지역의 근대문학
제4장 이청준 문학과 남도문학 1. 머리말 2. 한국문학사와 남도문학 1) 일국적 문학사 기술과 지역문학 2) 근대의 남도문학 3. 이청준 문학의 공간 1) 이청준 문학의 지리 공간 2) 이청준 문학과 장소로서의 ‘집’ (1) 잃어버린 집 (2) 집을 찾아서 (3) 나그네의 집 4. 이청준 문학과 남도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