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vii
제1부 감정의 세미오시스
01 C. S. 퍼스 기호학에 나타난 감정의 개념 / 3
1. 감정은 무엇인가 / 3
2. 감정 연구에 관한 사회・j역사적 맥락 / 4
3. 감정과 사고 / 11
4. 맥락적 관찰과 경험, 그리고 추론 / 26
02 인간과 언어, 이성과 감정 - M. Meyer의 새로운 언어관과 인간관을 중심으로 / 31
1. 로고스, 파토스, 에토스의 종합으로서 인간 존재 / 31
2. 물음과 언어 / 34
3. 차이(사이)를 교환하는 주체로서 인간 / 40
4. 타인과 파토스, 로고스와 파토스의 상관성 / 45
5. 인간의 3대 본성, 3대 파토스 / 54
제2부 감정의 언어
03 감정의 언어적 소통과 비유 - ‘j분노’k의 환유, 은유,은환유를 중심으로 / 65
1. 들머리 / 65
2. 감정의 언어와 비유의 토대 / 68
3. 분노와 비유 / 76
4. 맺는 말 / 90
04 감정어의 의미 확장과 변화 - ‘P공포’S와 관련된 감정 중심으로 / 97
1. 머리말 / 97
2. 의미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기제들(mechanisms) / 99
3. ‘P공포’S나 ‘S두려움’P을 나타내는 표현들의 의미 변화 / 101
4. 맺음말 / 116
05 민족적 특성으로서 한국어의 ‘P정(情)’S과 러시아어 상응형 연구 / 121
1. 서론 / 121
2. 본론 / 122
3. 결론 / 140
제3부 감정과 문학
06 1930년대 중후반 소설에 나타난 불안의 양상과 극복의 방식 / 147
1. 들어가기 / 147
2. 불안양상으로서의 회피 / 152
3. 불안에 파생된 자기 검열 / 165
4. 나오기를 대신하여: 불안의 요인인 ‘P어떻게 살 것인가’S와 ‘P무엇을 할 것인가’/ 172
07 역사이야기의 심리적 해석과 추체험의 문제 - ‘S슬픔’P의 감정을 주제로 한 소설 『백범』을 중심으로 / 177
1. 머리말 / 177
2. 자서전 『백범일지』와 소설 『백범』의 서사 비교 / 180
3. 자서전 『백범일지』의 심리적 해석 / 187
4. 한국근대사의 재실행과 ‘S슬픔’P의 추체험 / 191
5. 맺음말 / 200
제4부 감정과 실천
08 취향의 기호 - 러브마크 생산에 대한 민족지적 관찰 / 205
1. 들어가며 / 205
2. 민족지적 상황 / 208
3. 기호 수신자의 파악: 브랜드의 소통 대상에 대한 조사 / 210
4. 감정에 호소하는 아이디어 찾기: 브랜드속성(attributes)에 대한 예변법(豫辯法, proleptic)적 결정 / 213
5. 싫음의 제외: 브랜드 형태(brand form)의 결정 / 216
6. 나가며 / 220
09 언어와 정서 - 언어병리현상을 중심으로 / 223
1. 들어가는 말 / 223
2. 언어로 표상된 인지적 집합체로서의 정서 어휘 / 227
3. 언어로 표현되고 언어를 통해 조절되는 정서 / 236
4. 비언어적 의사소통으로 주고받는 정서 / 241
5. 맺음말 / 248
10 사회 관계형 서비스 개발을 위한 연령별 색채 이미지 선호와 심미성 / 257
1. 서론 / 257
2. 이론적 배경 / 259
3. 실험 1: 색채 배색의 선호와 심미성 / 265
4. 실험 2: 커뮤니티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호와 심미성 / 271
5. 논의 / 277
찾아보기 / 285
필자 / 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