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제1편 경찰조직일반론
제1장 경찰조직의 의의 및 이념
제1절 경찰조직의 의의 특징
제2절 경찰조직의 이념
제2장 경찰조직 목표
제1절 경찰조목표의 유형 및 기능
제2절 조직 효과성의 측정모형 및 변동
제3장 경찰조직이론의 발달
제1절 고전적 조직이론
제2절 신고전적 조직이론
제3절 현대적 조직이론
제2편 경찰조직구조론
제1장 조직의 편성원리 및 유형
제1절 경찰조직의 편성원리
제2절 조직의 유형
제2장 관료제
제1절 관료제의 의의 및 이론
제2절 대표관료제
제3절 애드호크라시
제4절 경찰관료제
제3장 경찰제도 및 조직 체계
제1절 경찰제도의 의의 및 유형
제2절 한국경찰의 역사 및 발전
제3절 한국경찰의 조직체계
제3편 경찰기획 및 정책 결정
제1장 경찰조직의 기획
제1절 경찰기획의 의의 및 본질
제2절 경찰기획의 과정 및 단계
제3절 기획의 한계
제2장 경찰정책 결정
제1절 정책의 의의 및 구성요소
제2절 정책결정
제4편 경찰조직관리론
제1장 조직과 개인
제1절 조직과 개인의 관계
제2절 동기부여이론
제3절 스트레스 및 시간관리
제2장 경찰리더십
제1절 경찰리더십의 의의 및 주요요소
제2절 경찰리더십 관련 이론
제3장 의사전달 및 갈등관리
제1절 의사전달
제2절 갈등관리
제4장 경찰문화와 윤리
제1절 경찰문화
제2절 경찰윤리
제5장 경찰조직의 성과 관리
제1절 성과관리
제2절 성과관리의 종류
제3절 경찰청 치안종합성과평가
제6장 경찰정보관리
제1절 정보의 이해
제2절 정보경찰 조직 및 법적 성격
제3절 정보주도형 경찰활동
제4절 정보공개제도의 이해
제5편 경찰조직의 미래
제1장 경찰조직의 미래이론
제1절 학습조직이론
제2절 네트워크 조직
제2장 경찰조직의 개혁
제1절 경찰개혁
제2절 최근 경찰개혁의 내용
제3절 경찰조직의 개혁방안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