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Ⅰ. 고려전기의 불교조각
통일왕조의 출현과 새로운 불교미술의 전개
제1장. 개태사 석조삼존불입상과 후삼국 통일
고려의 후삼국 통일과 개태사 창건
개태사 석조삼존불입상의 분석
개태사 석조삼존불입상과 경북ㆍ충북 일대의 석불들
조각장인에 대한 추론
개태사 석조삼존불입상에 보이는 외래적 요소
개태사 본존상의 도상 문제
제2장. 광주철불좌상과 통일신라 도상의 계승
광주철불의 조성배경
광주철불의 양식계보
광주철불의 조각사적 의의
제3장. 중부지역에 확산된 불교조각: 석불과 철불
북한산 일대의 석불
광주ㆍ하남시 일대의 석불
안성 일대의 석불
평택ㆍ시흥의 서해안 일대 석불
원주 지역의 석불과 철불
충주ㆍ괴산 지역의 석불
중부지역 불상들의 양식적 특징과 의의
제4장. 미륵존상 조성의 성행: 마애보살반가상과 석조보살입상
보살반가상 형식
보살입상 형식
보살상의 편년
석조보살상의 존명
조성배경
제5장. 지방 호족의 불교조각: 강릉ㆍ오대산 지역의 석조보살상
강릉ㆍ오대산 지역의 성격
한송사지 석조보살상
월정사 석조보살상
신복사지 석조보살상
조각적 특징과 의의
제6장. 현종대의 석탑 조각과 그 의장
현종대의 불교와 불사
예천 개심사지 오층석탑의 부조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의 부조
개성 현화사지 칠층석탑의 부조
제천 사자빈신사지 사사자 구층석탑의 인물상
영암사지의 석조의장
현종대 석조미술의 성격과 의미
제7장. 새로운 도상의 전래와 수용
승가대사신앙과 승가사 승가대사상
나한신앙의 성행과 그 미술
성불사 마애석가삼존과 십육나한상
국립전주박물관 동제 빈도로존자상
소조 및 도제 나한상
관음보살상의 새로운 형식
Ⅱ. 고려후기의 불교조각
정토를 향한 염원과 현세극복
제8장. 목조아미타불상의 조성과 복장 묵서명
개심사 목조아미타불좌상과 봉함목 묵서명
개운사 목조아미타불좌상과 조성원문 및 개금발원문
봉림사 목조아미타불좌상과 복장 전적
수국사 목조아미타불좌상과 기해명 다라니 및 개금발원문
자운사 목조아미타불좌상과 개금발원문
아미타불상의 양식
아미타불상 조성 배경과 의의
제9장. 귀족적 미의식의 정착: 12세기 말~13세기의 보살상
안동 봉정사 목조관음보살좌상
안동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소형 금동보살입상
제10장. 왕실불사와 민천사 금동아미타불좌상
민천사의 창건 배경과 그 기능
민천사의 삼천불 조성 불사
민천사 금동아미타불좌상과 개경 주변의 불상들
민천사 금동아미타불좌상과 14세기 중엽의 금동불상들
제11장. 중생구원의 이미지: 14세기의 금동보살상
부석사 금동관음보살좌상
지순명 금동관음보살입상ㆍ대세지보살입상
장륙사 건칠관음보살좌상
조각사적 의의와 성격
제12장. 현세구복 신앙의 편린: 호지불과 마리지천상
고려시대 밀교와 마리지천신앙
고려시대의 호지불과 마리지천상
마리지천상의 유래
고려 말의 마리지천상
마리지천상의 성격과 불교미술사적 의의
에필로그
참고문헌
도판목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