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3의 R은 연관성(Relevance), 관계구축(Relationship), 평판형성(Reputation)의 머리글자를 따온 말이다. 광고업계에서 흔히 사용하는 용어이지만 지금까지 각각 별개로 취급되었다.
목차
▪발간사 5 ▪한국어판 머리말 6 ▪한국어판 발간사 7 ▪머리말 9
STEP.1 문제제기 상품의 커머디티화와 미디어의 다양화 18 소비자는 물건을 사지 않게 된 것인가 20 정착하는 브랜드는 불과 0.5% 22 플랫화되는 기업과 소비자의 관계 23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의 발상 25 IMC 1.0에서 3.0으로 29
STEP.2 더욱 플랫화되는 기업과 소비자의 관계 높아지는 소비자의 발언력 32 상품 카테고리에 따라 화제성과 추천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가 37 ‘도로리치 나우’ 사례에서 볼 수 있는 캐주얼한 추천 40 커뮤니케이션은 이자(二者)간 관계에서 ‘삼각관계’로 43 삼각관계의 커뮤니케이션 46 삼각관계의 커뮤니케이션과 간접적 어프로치 47
[칼럼] 기업에 의한 잠재 지원자(서포터) 만들기―코카콜라 파크 52 [칼럼] SNS를 활용하여 일반 소비자와 관계 만들기―무인양품 53
STEP.3 브랜드를 체험할 수 있는 모든 고객접점이 미디어이다 광고 미디어만이 미디어는 아니다 58 3개의 미디어 60 모든 체험접점에 트리플미디어의 관점은 필요하다 62 확대되는 미디어의 개념 65 삼각관계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의 관계 67 다양한 조합과 연동도 반드시 검토할 것 72
[칼럼] 트리플미디어의 파생적 분류 74
효과적인 체험접점의 발견과 매니지먼트 76 4개의 심리 스테이지와 체험접점 76 효과적인 스테이지와 체험접점 좁혀가기 79 타깃 속성을 고려하기 81
STEP.4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프레임 “R3”의 제시 R3 커뮤니케이션이 지향하는 모습 84 공동창조가치를 높이는 세 가지 R 85 모든 R도 기점이 될 수 있다 90
한국사례 File No.01~05 No.1 BMW Gran Turismo on the road 140 No.2 IBK기업은행 기업PR 145 No.3 엔제리너스커피 소셜미디어 149 No.4 기아자동차 K9 Application 154 No.5 현대자동차 싼타페 태블릿PC 광고 157
[칼럼] R3 커뮤니케이션에서의 ARG 가능성 160 TOP Creator 인터뷰 ① 162 TOP Creator 인터뷰 ② 166
Step.5 R 3 플래닝의 실전 360도 원스톱 플래닝의 대응 172 R3의 플래닝 플로우 173 다층적인 인사이트 176 소셜 인사이트―사회 전체의 마음의 움직임을 잡는다 178 커뮤니티 인사이트―소속집단에서 화제가 되는 ‘소재’를 찾자 180 미디어 인사이트―소비자에게 효과적인 체험접점을 찾자 183 미디어 접촉상황을 파악하자 184 효과적인 체험접점을 좁혀가자 186 ‘생활문맥’ב미디어 인사이트’에 따라 체험 시나리오를 그리자 189 체험접점의 정리와 각각의 R드라이버의 배치 193
Step.6 R3 스케일에 의한 효과측정 R3의 지표개념과 선행연구 201 R3 스케일의 개발요건과 유의점 208 R3 스케일 개발을 위한 실험조사 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