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Ⅱ. 사형제도 폐지 불교운동본부
1. 불교인권운동과 사형제도의 모순
1) 대한민국 성립과 사형제도
2) 사형수 김대중 대통령 당선
3) 인간의 존재와 불교의 불성론
2. 불교사상에 의한 생명 존중
1) 사형제도 폐지 불교운동 결성의 의미
2) 불교사상에 의한 인간의 존재
3) 불살생계에 대한 성찰
4) 사형제도 폐지운동의 원인
5) 불교인권운동과 사형제도 폐지운동
3. 대한민국 국회의 사형제도 폐지운동
1) 사형제도 폐지와 인간성 회복운동
2) 사형제도의 존치는 생명존중 상실
3) 사형제도의 비불교
4) 사형제도의 비인간성
Ⅲ. 법이란 이름으로 생명을 심판하는 문제점
1. 법과 생명의 존중
1) 사형제도 존치는 법의 존엄성 상실
2) 악법으로 인간의 존재를 부정
3) 인간의 생명은 불성의 존재
2. 사형제도 존치와 인간의 존재론 부정
1) 악법으로 심판하는 사형
2) 박정희 시대의 정치적인 사형수 복권
3) 국제사면위원회의 요청에 의한 법
3. 오판으로 심판하는 사형
1) 오심에 의한 판결은 범죄
2) 정치 법관들의 오판 사형
3) 국가의 오판으로 인한 사형
Ⅳ. 사형제도 폐지법과 법정의와 인간존중
1. 사형제도 폐지와 인간존중
1) 사형집행과 생명의 존재
2) 한국의 정부 수립 이후 사형집행의 현황
2. 법원의 사형 판결에 대한 재고
1) 대한민국 대법원의 반성
2) 대한민국 대법원의 역할과 사형 판결에서 무기형
3. 김대중 정부에서의 사형제도
1) 김대중 정권하에서 사형수의 무기형 감형
2) 노무현 정권과 사형제도 폐지운동
3) 노무현 정권과 김대중 정권의 차별 정책
4) 노무현 정권하에 유영철 사건 발생
5) 대한불교 조계종의 사형제도 폐지 성명
4. 노무현 대통령과 사형폐지법
1) 노무현 정부에서의 사형수에 대한 판결
2) 사형수에 대한 인식
3) 노무현 시대 사형수에게 무기형 촉구
5. 이명박 정부시대 사형에서 무기형
1) 이명박 정부에서의 사형집행 보류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