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서문
머리말
제1장 협화회 전사(前史)
1. 내선협화회의 설립 동기와 사업
2. 초기 내선협화회의 성격
3. 초기 내선협화회의 좌절
4. 새로운 재일조선인정책의 전개
5. 오사카부 내선융화사업조사회의 활동
제2장 오사카지역의 교풍회 활동
1. 경찰의 조선인대책
2. 교풍회 활동
3. 교풍회 조직과 사업의 확대
제3장 협화회 이행기의 조선인친목·융화·동향단체
1. 전전기(戰前期)의 조선인단체 개관
2. 경찰의 조선인단체 통합과정 - 미에현(三重縣)을 중심으로
3. 협화회 이행기의 단체활동
제4장 지방협화회의 설립과정
1. 협화사업단체의 설치
2. 지방협화회 설립과 예산 조치
3. 1936~1937년 시기의 협화사업
4. 교토부협화회의 설립과 전개
5. 협화회 지부결성 과정-효고현을 중심으로
제5장 중앙협화회의 설립
1. 중앙협화회의 설립 동기
2. 협화회의 논리
3. 중앙협화회 설립의 경과
4. 중앙협화회의 임원 구성
5. 협화회 조직
6. 중앙협화회의 기능
7. 협화회의 ‘획기적 확충’
제6장 협화회 지부·분화·지도원
1. 재일조선인과 경찰
2. 협화회와 경찰조직
3. 협화회 조직에 참여한 재일조선인
제7장 황민화정책의 전개
1. 신사참배와 가미다나(神柵)
2. 각종 근로봉사와 군사헌금ㆍ헌품의 강요
3. 각종 황민화 강습회와 교련ㆍ단체훈련 동원
4. 강제연행노동자에 대한 협화 훈련
5. 기타 황민화정책의 실시
제8장 협화회체제 속에서 재일조선인의 저항
1. 재일조선인촌의 적극적 역할
2. 협화회 시책과 재일조선인의 저항ㆍ비동조
3. 강제연행노동자의 저항
제9장 협화회체제의 붕괴
1. 흥생회로의 전환
2. 중앙흥생회의 탄생
3. 조선인 통제기능의 해체
4. 협화회와 전후 재일조선인사회
제10장 협화회에서 흥생회체제로의 전환과 전후 이행
1. 중앙흥생회사업계획과 지방흥생회의 결성
2. 흥생회의 조직 붕괴와 전후 조선인 억압체제의 유지
3. 조선인에 대한 새로운 대응
<보론>
1. 일본인의 재일조선인에 대한 대응 -고다 다마(幸田 夕マ)와 야하타시(入幡市) 마루야마(丸山)학원
2. 일본인의 재일조선인에 대한 대응 -야나기하라 기치베(柳原吉兵衛)와 협화회
3. ‘반도동포’·‘반도인’이라는 말
4. 일본정부의 조선인 도항관리
역자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