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칸트 미학 : 『판단력 비판』의 주요 개념들과 문제들
발행연도 - 2012 / 크리스티안 헬무트 벤첼 지음 ; 박배형 옮김 / 그린비출판사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88911
-
ISBN
9788976823854
-
형태
343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철학
>
형이상학
>
존재론
-
카테고리분류
인문
>
서양철학
>
근대철학
책소개
철학의 정원 12권. 고전 미학의 정점이자 독일 낭만주의부터 포스트모던 미학까지 후대 미학 이론에 막대한 영향을 미쳐온 칸트 미학, 특히 그 중핵을 이루는 저작 <판단력 비판>을 수월히 이해할 수 있도록 텍스트에 밀착해 해설한 책.
목차
옮긴이의 말
서문 / 헨리 E. 앨리슨)
감사의 말
이 책에 관하여
이 책에 사용된 원전의 번역에 관하여
서론
주체와 대상 사이의 미감적 차원
“미감적”의 의미
길잡이로서의 범주
취미 판단의 “계기들”
1장 _ 무관심성: 제1계기
무관심성: 주관적 기준
세 가지 종류의 만족: 쾌적, 미, 선
2장 _ 보편성: 제2계기
자기반성으로부터의 논변: 사적, 공적, 보편적
주관적 보편성
초월론적 논리학의 경우
단칭적 ‘그러나’ 보편적
9절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3장 _ 합목적성: 제3계기
의지 없는 목적, 목적 없는 합목적성
합목적성과 형식: 매력 對 오일러
“가장 커다란 중요성”에 대해: 미와 완전성
자유미와 종속미 그리고 이상
4장 _ 필연성: 제4계기
범례적 필연성
공통감에 대한 칸트의 해석
연역
5장 _ 예술, 자연 그리고 천재
예술, 그리고 그것이 마치 자연처럼 보여야 하는 이유
천재와 취미
천재와 미감적 이념
6장 _ 미를 넘어서
숭고
도덕성의 상징으로서의 미
분석론, 변증론 그리고 초감성적인 것
7장 _두 가지의 난제
칸트의 미학은 추를 설명할 수 있는가?
수학에 미와 천재가 존재할 수 있는가?
요약과 개관
칸트 이전
칸트의 미학
칸트 이후
부록
용어 해설
참고문헌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2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1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1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1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