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머리말
머리말
1부 일본의 근세
1장 무가 국가
1 오다 노부나가 시기
2 도요토미 정권
3 도쿠가와 정권의 성립
4 막부 정치의 확립과 전개
5 통일 정권과 천황
칼럼1_‘총무사령’은 없었다
2장 근세의 대외관계
1 국경을 넘다드는 물건의 흐름
2 동아시아 속 근세 일본
3 서양과 일본
칼럼2_마쓰다이라 사다노부와 러시아
3장 근세의 농촌 세계
1 통일 권력에 따른 근세 국가 창출
2 햐큐쇼 신분과 촌락 사회
3 촌락의 경관과 가족 형태
4 촌락의 평화와 공의 권력
5 햐쿠쇼 사회의 발전
칼럼3_경작도 병풍과 두루마리
4장 근세의 도시 사회
1 근세 도시의 성립
2 도시와 경제 인프라 정비
3 경제 발전과 도시의 변용
4 도시의 위기와 재해 대응
칼럼4_근세의 상인 상
5장 전환기 사회
1 수입 지출 구조의 전환과 쇼군 권력의 강화
2 민간 사회의 성장
3 사회 변화
4 소원 제기 운동의 변질과 번 행정의 전개
5 천황의 부상과 민중
칼럼5_문서 행정과 도장
6장 근세의 사상과 문화
1 근세적 사상이란?
2 영주와 민중의 사상
3 문화의 여러 모습
칼럼6_‘일곱 살 이전은 신과 같다’는 말이 사실인가?
2부 일본의 근현대
7장 메이지 우신과 문명개화
1 세계제체 참가
2 통일 정부의 구상과 공의
3 유신 변혁과 천황
4 개화 정책과 사족 반란
5 대일본제국 헌법 발포를 향해서
칼럼7_천황제와 문화재
8장 입헌국가의 전재과 근대 천황
1 초기 의회와 입헌군주제 모색
2 러일전쟁 후 입헌군주제 형성
3 제1차 세계대전 후 입헌군주제 전개
4 입헌군주제의 붕괴와 중일전쟁
5 미일 간 전쟁에서 패전 후 일본으로
칼럼8_메이지 헌법 개정은 가능한가?
9장 동아시아를 둘러싼 국제환경 변화와 일본 외교
1 동아시아에서 일본의 대두, ‘입구’에서 ‘탈아’로
2 제국으로서의 발전 추구, ‘탈아’의 진전
3 국제 협조 외교의 전개, ‘세계의 대세’에 순응하다
4 국제적 고립화의 길, ‘탈아·탈구’로 가다
칼럼9_현재와의 대화, 전간기의 국제관계사
10장 제국 일본의 발전과 도시·농촌
1 유신 변혁과 도시의 정체
2 도시 개조의 시작
3 도시화의 진전과 농촌의 쇠퇴
4 공황에서 전시체제로 이행
칼럼10_군항 도시
11장 근대 사상과 시민 문화
1 언어의 근대
2 사상의 근대
3 대중사회화와 도시 문화
4 총력전 시대의 사상과 문화
칼럼11_음악의 근대
12장 일본제국주의의 식민 지배
1 일본에게 식민 지배란?
2 식민지의 법제와 지배 체제
3 동화와 차별화
4 대일본제국에서의 인구 이동
5 식민 지배가 남긴 것
칼럼12_‘제국’, ‘국민국가’에 이론을 제기하는 일본인
13장 전후 일본과 미일관계
1 미국 문명의 충격, 1945~1952년
2 점령에서 동맹으로, 1952~1960년
3 일본의 자립과 대미 관계의 성숙, 1960~1975년
4 두 경제 대국의 동맹과 마찰, 1975~1990년
5 헤이세이 시기의 미일관계, 1990~2009년
칼럼13_상징으로서 〈고질라〉
참고문헌
일본 근세·근현대사 연표
찾아보기
옮긴이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