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Part 1 세계 경제 3대 트렌드에 직면한 한국
1장 빠른 세계화 트렌드
한국의 세계화, 국책연구기관과 대학의 역할
세계화를 재조명한다
세계화는 어떻게 추진되고 있나
세계화의 5가지 문제점, 우리도 글로벌 리더가 될 수 있다
2장 지식기반 및 문화기반 경제로의 빠른 전환 트렌드
첨단산업, ‘원천기술’ 개발과 ‘융합’의 확산
지식기반서비스산업의 성장
교육산업의 성장
의료서비스산업의 성장
문화·예술 기반 창조산업의 성장
창조산업, 경제성장의 원동력
창조산업 활동의 효과
3장 중국·인도 경제의 고속성장 트렌드
중국의 빠른 경제성장, 기회인가 위협인가
중국 경제, 내수 주도 경제로 전환하는가
중국, ‘대중화 건설’을 꿈꾸나
중국은 기회의 나라
인도 역시 기회의 나라
인도의 산업발전
인도 경제의 미래
Part 2 우리의 선택 : 신성장 동력 창출과 동아시아 공동체 핵심 국가
4장 ‘원천기술’ 경제로 바꿔라
우리나라 대기업, 투자처를 찾고 있다
‘원천기술’ 개발 능력,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려야
우리나라 연구개발(R&D) 능력의 현주소
미국의 대표적 생명공학산업 클러스터, 어떻게 형성되었나
5장 신성장 동력 창출
‘원천기술’ 위주의 첨단산업
정보기술산업, 융합시대가 도래한다
세계 바이오산업, 미국이 주도한다
바이오산업 미래의 주 성장동력이다
환경 및 신에너지산업, 어떻게 발전하고 있나
지식기반서비스산업, 글로벌 경쟁 시대이다
지식기반서비스산업, 미래 신성장 동력이다
문화·예술기반 창조산업을 주시하라
6장 물류, 신성장 동력이다
지역물류센터를 유치하라
대한민국, 동북아 물류허브가 될 수 있다
컨테이너 물동량 전망치, 2배로 늘려라
7장 한국, 동아시아 경제공동체 핵심 국가
동아시아 경제공동체 조정자, 촉진자
동아시아 경제공동체 핵심국가 여건조성
경제자유구역에 집중 투자하라
개혁은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르게
‘한국형’ 윤리기반 복지정책
유비무환의 교훈, 잊을 수가 없다
Part 3 송도 글로벌대학교, ‘글로벌 인재’ 양성과 연구개발(R&D)의 요람
8장 송도에 글로벌 대학교를 설립하라
왜 ‘송도글로벌대학교’인가?
선진국 명문대학이 송도에 확장캠퍼스 설립 이유는?
동아시아 우수 학생들이 ‘송도글로벌대학교’ 개교를 기다린다
‘송도글로벌대학교’ 졸업생, ‘글로벌 인재’가 된다
‘브리지 첨단산업’을 창출하라
‘브리지 지식기반 서비스산업’을 창출하라
‘브리지 문화·예술기반산업’을 창출하라
송도글로벌대학 캠퍼스, ‘원천기술’ 경제로 가는 길목이다
송도글로벌대학교 첫 예산 어떻게 확보되었나
건설 예산 첫 310억 원과 추가 90억 원 배정
외국 대학 유치가 외화 획득이요, 일자리 창출도 된다
빠른 세계화로 인한 소득격차, 진정성을 가지고 해소해야
싱가포르의 외국 대학 유치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9장 외국 대학 및 연구소는 어떻게 유치되고 있나
첫 방문 대학, 미국 템플 대학교
외국 대학 및 연구소 유치를 위한 전략을 세워라
솔크생명과학연구소를 유치하라
미국 명문대학 캘리포니아 버클리주립대학의 첫 방문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학을 유치하라
뉴욕 스토니브룩주립대학과 조지메이슨대학의 첫 방문
미국 명문대학 남가주대학교의 첫 방문
미국 명문대학 남가주대학교를 다시 유치하라
외국 명문대학의 유치활동, 계속되고 있다
아이비리그 대학, 왜 유치하지 않나
10장 송도글로벌대학교 개교는 언제쯤인가?
미국 뉴욕주립대학 스노티부룩 송도 캠퍼스 설립
미국 조지메이슨대학
미국 미주리대학
미국 유타대학
벨기에 겐트대학
미국 조지아주립대학 로빈슨경영대학
11장 동북아경제통상대학의 설립 사례
‘동북아경제통상대학’을 설립하라
‘동북아경제통상대학’ 설립재원을 확보하라
(주)대우건설, ‘동북아경제통상대학’ 건물을 기증
‘동북아경제통상대학’ 졸업생, 동북아 인재로 자란다
나가는 말
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