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Prologue)
머리말/실천적 통섭이론과 융합모델을 위해
1장 융합(Convergence)
1. 융합의 정의
2. 기술의 융합
3. 지식의 융합
4. 세계 각국의 융합 현황
5. 미래의 융합기술 전망
2장 지식의 통섭(Consilience)
1. 통섭의 이해: 본질, 메커니즘, 개념 및 원리
2. 통섭의 시대: 왜 이 시대에 통섭이 필요한가?
3. 동양과 서양의 통섭에 대한 접근
4. 통섭적 논리학과 통섭적 사고방식
5. 향후 통섭의 방향: 인간의 감성이 중심이 된 통섭
3장 현대문화와 통섭
1. 융합학문의 도래
2. 통섭: 퓨전 코드의 도래
3. 통섭과학의 실현 가능성
4. 산업의 융합과 통섭
5. 국내 융합산업의 동향ㆍ융합 콘텐츠의 부재
6. 한국 사회의 통섭과 융합적 사고의 현실과 한계
7. 미래가 요구하는 통섭형 인재
4장 미래의 융합과 통섭
1. 통섭의 비판적 고찰과 향후 전망
2. 미래 융합학문의 전망
3. 미래 통섭 현상의 전망
5장 인간과 기술의 융합: 인간과 기술의 경계를 뛰어넘는 통섭
킬러 애플리케이션
인터랙션 디자인
미래의 인간과 기술의 상호작용 패러다임
사이보그, 사이버네틱스, 신경망
인간의 환경 속에 조용히 존재하는 컴퓨터
미래 기술, 인간 중심의 IT 융합기술
융합생태계
6장 결론: 한국적 통섭을 위해
글을 마치며(Epilogue)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