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국 최초의 아이돌 문화 보고서.‘아이돌 팝 연구회’를 비롯해 13명의 젊은 문화 연구자가 모여 1년 8개월 동안 세미나와 월례 발표회를 거치며 아이돌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한국 사회와 대중문화의 흐름을 살핀 공동 작업의 결과물이다. 누구나 아이돌과 함께 살아가는 지금, 가십성 연예 기사와 대중문화 비평을 넘어서는 새로운 아이돌 담론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목차
들어가며
1부 아이돌, 아이돌 팝, 아이돌 문화
1장 아이돌 팝이란 무엇인가 ― 징후적 독해 / 이동연
‘팝 아이돌’, 은하계에서 온 외계인?
아이돌 팝이란 무엇인가
문화 구성체로서 아이돌 팝
초국적화하는 아이돌 팝
아이돌 팝은 어떻게 재생산되는가
2장 우상의 황혼 - 한국 사회에서 아이돌은 어떻게 소비되는가 / 문강형준
이미지
시뮬라크르
신화
인간 자본
상품
세이렌과 오뒷세우스
브리콜라주
소비
3장 아이돌 순위의 계보학 ― 객관성 논란에서 고객님들의 유희까지 / 강혜경
1위와 대상 그리고 눈물
아이돌 줄 세우기, 그 다양한 방식들
팬과 대중, ‘수용자’들의 실천
기획사와 방송, ‘생산자’들의 실천
아이돌 줄 세우기는 왜 계속될까
결론을 대신해 ― 아이돌스타 육상 선수권 대회를 보며
4장 ‘아이도루’ 와 ‘아이돌’ 사이에서 ― 아이돌을 통해 보는 한일 문화 교류 / 한자영
길이 열리고 통하다
한국과 일본이 겪은 서로 다른 아시아
한국과 일본의 아이돌은 어떻게 다른가
한국과 일본의 아이돌, 현해탄을 건너다
시장의 논리를 떠나 진정한 문화 교류의 장으로
2부 아이돌의 음악 세계
1장 한국 아이돌 그룹의 역사와 계보, 1996~2010년 / 차우진·최지선
아이돌의 정의와 범위
댄스 음악의 유행과 아이돌 그룹의 징후
아이돌 시대의 개막
진화하는 아이돌 ― 2세대 아이돌 그룹
진화하는 아이돌 앞에 놓인 과제들
2장 아이돌 팝의 음악 스타일에 관한 짧은 소견서 ― 버블껌 팝에서 장르 음악으로 / 강일권
아이돌 팝, 댄스 음악에서 특정 장르로 오기까지
오늘날 아이돌 음악에 흑인 음악의 요소가 스며든 계기
장르를 표방한 아이돌의 등장
음악적 발전인가 아니면 단순한 트렌드 지향인가
3장 박재범과 타블로, 그리고 유승준의 평행 이론 ― 한국 대중음악의 초국적화와 민족주의적 트러블 / 정민우
한류와 케이 팝, 지구화인가 혼종화인가
대중음악 지형의 초국적화
2000년대 초반 ‘유승준 사건’ ― 국가, 산업, 대중의 배제
2000년대 후반 ‘재범 사건’과 ‘타블로 사건’ ― 초국적화의 양면성과 민족주의의 유연화
트러블, 트러블, 트러블
3부 아이돌 문화 현상 읽기
1장 리얼이라는 이름의 노동 ― 아이돌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진짜 가짜 리얼 일상 / 김보년
일상을 드러내는 아이돌
아이돌 리얼리티가 온다
아이돌의 감정노동
얼마나 리얼해질 수 있을까
2장 걸그룹 전성시대에 당신이 상상하는 것들 ― 걸그룹의 성적 이미지 전략과 포섭된 남성 팬덤 / 김수아
성애적 소녀 이미지의 등장
이미지를 소비하는 아이돌 산업
순수함과 성스러움 사이에서
걸그룹 이미지 전략의 변화, 성애적 코드의 가미
상품화된 성, 대상화된 몸
걸그룹의 성애화와 상업화
불붙은 남성 팬덤의 논쟁
소녀와 성인 남성의 친밀성의 정체 ― 삼촌팬의 등장과 정상성 논쟁
아이돌에 관한 비판을 허하라
3장 ‘삼촌팬’의 탄생 ― 30대 남성 팬덤의 불/가능성에 관하여 / 김성윤
‘삼촌’의 이름으로 귀환한 신세대 남성들
피터팬 콤플렉스와 롤리타 콤플렉스 사이에서
‘일반화된 타자’와 마주친 삼촌들
친밀성, 남성성, 그리고 팬질의 이중적 귀결
4장 JYJ 공화국 ― 선택을 강요받은 자들의 선택할 권리 ˙이승아
일본 케이 팝 시장의 태동
Always keep the faith, 신념을 지키자
JYJ 공화국의 탄생
JYJ 공화국의 자치운영제
JYJ 공화국의 불법 체류자
JYJ 인터넷 방송국의 3일천하
팬질이란 무엇인가 ― 다방향적 문화의 흐름
5장 환상 속에 아이돌이 있다 ― 신자유주의와 아이돌의 성공 이데올로기 / 권경우
사회 문화 판도를 바꾼 경제 위기
빅뱅처럼 성공하라?
아이돌 고시 열풍
<슈퍼스타 K2>의 성공과 한계
우리 시대의 신화
4부 아이돌을 위한 기록들
한국 아이돌 백서 / 강혜경
인터뷰 브라운아이드걸스 나르샤를 만나다
인터뷰 JYP엔터테인먼트 정욱 대표를 만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