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첫 번째_ 중국 남방에서 마주친 북방민족의 바지
흰바지야오족의 신기한 바지, 쪼우
궁고와 흉노족의 바지 그리고 쪼우
다른 민족들은 궁고를 입지 않았다
중국 남방에서 발견된 궁고와 닮은 바지들
두 번째_ 먀오족의 만들어진 5,000년 역사
먀오족은 어떤 민족인가
먀오족 역사의 비밀
반호는 먀오족의 토템이 아니다
샴묘는 먀오족의 조상이 아니다
치우는 먀오족의 조상이 아니다
세 번째_ 또 하나의 카레스키, 고구려 유민
중국 남방으로 끌려간 고구려 유민
후난성에서 발견된 고구려 지명
후베이성에서 발견된 고구려 지명
송나라 시기 등장하는 고구려 관련 민족명
남방으로 끌려간 고구려 유민은 10만 명 이상이었다
갑자기 늘어난 후난성 인구
고구려 유민의 한화, 농경화, 병력화를 꾀하다
네 번째_ 고구려 유민과 먀오족, 그들의 관계
당나라 이전 후난에는 먀오족이 없었다
송나라 문헌에 등장하는 먀오족의 정체
고구려 유민이 먀오족이 되기까지
다섯 번째_ 황하와 창강을 건너다
치마 위에 그려진 두 개의 강
광시성의 먀오족은 세 개의 강을 건너서 왔다
구이저우 중부 먀오족은 세 개의 강을 건너서 왔다
구이저우 서북 먀오족은 두 개의 강을 건너서 왔다
두 개의 강을 건너 온 샤오화먀오
두 개의 강을 건너 온 다화먀오
후난 먀오족도 두 개의 강을 건너서 왔다
만주 일대에서 이동한 서부 먀오족
여섯 번째_ 그들의 고향이 평양인 까닭
구이저우 동남 먀오족은 동방의 바닷가에서 왔다
후난 먀오족은 동쪽에서 왔다
평양에서 이동한 동부와 중부 먀오족
일곱 번째_ 고구려의 도성을 등에 지고
구이저우 서북 먀오족들의 도성 도안
구이저우 중부 먀오족들의 왕의 인장
광시 흰바지야오족의 도성과 인장 도안
왜 도성 도안을 가지고 있는가?
여덟 번째_ 먀오족의 자칭, 가뤼(가루오)
고구려의 마지막 이름은 고리
송나라 때 먀오족의 자칭, 가뤼(가로우)
현재 먀오족의 자칭, 가나오
먀오족의 자칭은 무슨 뜻인가?
아홉 번째_ 체질인류학으로 본 한국인과 먀오족
한국인과 가장 닮은 화란야오
북방에서 이주한 안순 바먀오
최근의 연구성과
열 번째_ 먀오족도 쌀을 쌀이라 한다
고구려인은 쌀과 벼를 어떻게 발음했나?
먀오족 어 중 쌀과 대응하는 말
먀오족 어 중 벼와 대응하는 말
쌀과 벼는 먀오족의 고유어
열한 번째_ 난생신화를 함께하다
먀오족의 시조여신 봄꽃어머니
고구려와 먀오족 시조여신의 공통점
알로 태어난 주몽과 먀오족 시조
다른 민족은 난생신화가 없다
버림받은 후 동물의 보호를 받는 시조
열두 번째_ 북에 조상의 영혼을 모시다
먀오족의 고사절 축제
10월에 축제한다
북을 맞이해 거행하는 축제
다른 민족은 북을 맞이하는 축제가 없다
북과 조상신을 동굴에서 모셔온다
나무로 강림하는 조상신
열세 번째_ 새날개형 관식을 머리에 꽂다
먀오족의 새날개형 관식
쑤오가 먀오족의 새날개형 나무빗
고구려에도 새날개형 관식이 있었다
금꽃과 은꽃으로 장식한다
열네 번째_ 바람을 가르는 모자, 절풍
고구려인의 고깔형 모자, 절풍
먀오족의 고깔형 모자, 까오포
열다섯 번째_ 또 하나의 실마리, 주름치마
고구려인은 주름치마를 입었다
먀오족은 고구려인의 주름치마를 입고 있다
새를 모방한 먀오족의 주름치마
열여섯 번째_ 아내의 집에서 결혼하고 살다
고구려인은 결혼 후 여자 집에서 살았다
먀오족도 결혼 후 여자 집에서 살았다
먀오족은 여자 집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일일곱 번째_ 형수와 결혼한다
고구려인은 형수와 결혼했다
먀오족도 형수와 결혼한다
열여덟 번째_ 시신을 집 안에 묻는다
고구려인은 시신을 집 안에 묻었다
먀오족도 시신을 집 안에 묻는다
열아홉 번째_ 죽어서야 고구려 땅으로
쑤오가 먀오족의 행복한 장례식
죽어서야 고구려 땅으로
에필로그_ 영원한 디아스포라, 고구려 유민
고구려 유민의 디아스포라 운명
나송 시기 구이저우로 이동하다
노예와 소작농으로 살아 온 고구려 유민
자주권을 지키기 위한 마지막 절규
고구려 유민이 모두 중국인이 된 것은 아니다
주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