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헌법은 한 나라의 최고규범으로, 그 나라의 정부형태 혹은 통치구조를 규정하고, 국민과 국가 간의 기본적 권리 의무를 밝힌 것이다. 이 책은 헌법의 시초라고 불리는 마그나 카르타 대헌장부터 시작해 세계 여러 나라의 헌법과 헌법사를 통해 우리 헌법과 헌정 현실을 성찰하고 '살아 있는 헌법'의 중요성과 헌법 개혁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목차
머리글
영국 헌법의 역사
존 왕과 마그나 카르타(Magna Carta), 1215년
영국 의회의 기원, 1265년
에드워드 쿡과 권리청원, 1628년
찰스 1세와 영국혁명(청교도 혁명), 1642~1660년
명예혁명과 권리장전, 1688년
존 로크의 『정부에 관한 두 논문』, 1690년
영국 수상제도의 시작과 의원내각제, 1721년
영국의 선거제도 개혁, 1832년
계몽주의 시대와 근대 헌법 이론
계몽주의 시대
몽테스키외 『법의 정신』, 1748년
루소와 『사회계략론』, 1762년
미국 헌법의 역사
독립혁명 전의 미국
미국의 독립혁명과 독립선언문, 1776년
미국 연방헌법의 제정, 1787년
미국 연방헌법의 내용
존 마셜과 연방대법원의 지위 확립, 1803년
노예제도의 폐지, 1863년
미국의 수정 헌법
프랑스 헌법의 역사
프랑스 절대군주제의 확립
프랑스 혁명과 시민의 권리선언, 1789년
나폴레옹과 프랑스 공화정의 전개
독일과 일본의 입헌군주제의 발전
1848년 3월 혁명과 프로이센 1851년 헌법
비스마르크와 독일통일, 1871년
일본의 메이지유신과 헌법제정, 1998년
20세기 이후 각국의 헌법
러시아 공산혁명, 1917년
소련 공산헌법의 전개
독일 바이마르 헌법, 1919년
독일의 분단과 서독 기본법, 1949년
프랑스 제4, 5공화국 헌법
일본의 전후 평화헌법, 1946년
중국 공산정권의 수립과 헌법의 제정, 1954년
중국 공산헌법의 전개
독일통일과 독일헌법, 1990년
소련이 붕괴와 러시아의 변혁, 1991년
유럽 통합을 위한 유럽헌법의 시도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헌법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헌법, 1919년
대한민국의 건국과 제헌헌법
대한민국 정부수립, 1948년
대한민국 제헌헌법, 1948년
조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과 북한 헌법의 제정, 1948년
이승만의 발췌개헌(1차 개헌), 1952년
이승만의 사사오입개헌(2차 개헌), 1954년
4·19 혁명과 내각책임제 헌법
4·19혁명, 1960년
4·19혁명 헌법(3차, 4차 개헌), 1960년
5·16군사정변과 군사정권 시절의 헌법
5·16군사정변과 1962년 헌법(5차, 6차 개헌)
유신헌법(7차 개헌), 1972년
북한의 사회주의 헌법, 1972년
유신체제의 붕괴와 80년 헌법(8차 개헌)
6·10민주항쟁과 87년 헌법
6월 민주화운동
87년 헌법(9차 개헌)
북한 헌법의 변천, 1992년, 1998년, 2009년
에필로그│대한민국 헌법의 과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