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윤동주가 직접 발표하려했던 19편의 시를 실었다. 덧붙여 청춘의 고뇌가 담긴 시, 외사랑이 담긴 시, 거리를 묘사한 시 등을 연대에 따라 취사선택했다. 고종사촌이자 친구였던 송몽규 시와 당대 최고 인기 시인이었던 정지용 시, 덧붙여 경성을 떠들썩하게 했던 천재 시인 백석의 시도 넣었다.
목차
집회
서시
머리말
1. 청춘이 그리워한 고향
윤동주가 출생한 북간도에 대하여
윤동주의 고향 용정에 대하여
1세
오줌싸개 지도
9세
12세
14세
15세
16세
18세의 윤동주
삶과 죽음
초한대
내일은 없다
19세의 송몽규
19세의 윤동주
십자가
공상
남쪽 하늘
창공
거리에서
조개 껍질
20세의 송몽규
20세의 윤동주
이런 날
정지용
향수 -정지용
21세의 송몽규
21세의 윤동주
백석
사슴
아우의 인상화
슬픈 족속
2. 경성 신촌을 거닐며
1930년 대 경성 분위기
22세
22세 송몽규
하늘과 더불어 - 송몽규
밤 - 송몽규
23세
눈 오는 지도
24세
25세
하숙집 주인, 소설가 김송
간
돌아와 오는 밤
태초의 아츰
또 태초의 아츰
새벽이 올 때까지
바람이 불어
눈 감고 간다
또 다른 고향
길
간판 없는 거리
병원
무서운 시간
참회록
3. 일본으로 유학
26세 송몽규
26세
흰 그림자
흐르는 거리
사랑스런 추억
봄
쉽게 쓰여진 시
27세
28세
29세
별 헤는 밤
1945년 3월 6일 장례식
자화상
새로운 길
다시 서시
창밖에 있거든 두다리라
1948년 이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