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PART 01 불평등한 한국의 정치사회
제1장 여론으로 본 고용불안 / 권혁용│다니엘 스테그뮬러│한서빈│요나스 폰투손
서론
소득과 고용불안
노동시장 구조와 고용불안
실업경험과 실업위험의 악순환
고용불안과 정책선호
제2장 소득분배와 프레카리아트 / 이양호
서론
소득 분배와 정부 정책에 대한 문제
프레카리아트의 문제
결론
제3장 여성의 정치참여와 불평등 / 이정진
여성 정치참여 현황
여성후보자에 대한 투표 경험
여성정치인에 대한 인식
여성정치 대표성 확대 방안
여성차별과 페미니즘에 대한 인식
제4장 ‘갑질’과 사회불평등 / 조계원
‘갑질’이란 무엇인가?
‘갑질’의 심각성과 원인
‘갑질’의 주체와 취약 집단
‘갑질’ 피해 사례와 대응 방식
‘갑질’의 개인적·사회적 영향
제5장 빈곤과 아동격차 / 최인숙
아동의 과외학습활동
아동의 과외학습활동 비용
아동의 학습의욕
아동의 학습집중도
방과 후 시간
제6장 글로벌 불평등과 개발원조 수준에 대한 한국인의 선호 / 김동훈│윤준영
서론
글로벌 정의(Global Justice)
개발협력을 위한 소득지출 및 증세
개발협력정책의 목적
개발협력의 효과성
한국의 개발원조 수준
결론
제7장 남북화해시기 한국인의 대북인식 / 지은주│유항근│정한울│이신화
통일에 대한 인식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운전자론’에 대한 기대
북한은 ‘협력 파트너-위협대상’ 인식 공존
“교류와 제재 병행” 여론이 과반
대북경제지원의 남한 내 효과 : 경제악화 우려, 극단적 비관-낙관론 피해야
결론 : 불평등과 대북관
PART 02 분석 : 불평등한 한국의 정치사회
제1장 유권자 연령 및 직업에 따른 소득투표 형태 / 문우진
최근의 세 선거에서의 소득투표
연령대별 정책선호, 유인가치 인식 및 소득투표
직업별 정책선호, 유인가치 인식 및 소득투표
결론
제2장 보편적 기본소득제의 프레이밍 효과와 한국인의 인식지형 / 정한울
서론
해외의 기본소득제 여론
한국사회의 기본소득제 인식 지형
기본소득제 실행단계에서의 쟁점
결론
제3장 한국인의 ‘신안보’ 인식 : 변화와 지속성 / 이신화│정한울
서론
북핵문제의 부침과 한국인의 대북안보인식
한국인의 포괄적인 신안보위협 인식구조
안보인식을 둘러싼 사회집단 간 인식격차 : 분절화된 세대·이념 균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