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합리한 학교 현실과 공교육의 진실, 교육정책 혁신에 관한 제언이 담긴 책이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아니라 아이들의 노력이 희망을 일굴 수 있는 교육, 개별 주체인 아이들의 '성장'이 목적인 학교로 바꾸는 것이 공교육 혁신의 방향이어야 한다.
목차
추천의 글 머리말 | 공교육, 어떻게 바꾸어야 할까
Ⅰ 교육청과 교육부는 어떻게 일하고 있나 세월호 사건이 남긴 것 교육청과 교육부, 하나부터 열까지 다 할 수는 없다
Ⅱ 교육 이슈로 본 우리 교육의 한계와 대안 캣맘 사건, 인성교육의 문제인가 교권 추락은 어디서 왔는가? 학생인권과 교권 사이 아동학대 사건은 교사와 학교 책임인가?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 이대로 둘 수 없다 세림이 법으로 본 학교 안전 문제
Ⅲ 경제 논리에 의한 교육-수요자와 현장 중심의 교육정책을 만들어가야 돌봄교실 확대와 학교의 존재 이유 누리과정에서 놓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소규모 학교 통폐합 사태를 바라보며 교육예산의 낭비와 무상급식·무상교복 문제 혁신교육지구 사업-지역사회와 혁신교육이 만나다
Ⅳ 정치 논리에 의한 교육-그 피로감을 극복해야 한다 국정 교과서와 교학사 교과서-다양성의 소멸을 바라보며 진보와 보수는 과연 존재하는가-전교조 법외 노조 사태를 바라보며
Ⅴ 학부모와 함께 성장하는 교육 학부모 연수, 왜 도움이 되지 않는가? 우리 학부모는 어디로 가고 있나!
Ⅵ 한계에 다다른 입시 위주 교육-새로운 교육에서 대안을 찾자 공부 못하는 학생은 왜 생길까? 학생이 중심이 되는 수업과 평가는 가능한가? 자유학기제의 전면 시행은 어디로 가나? 체험학습 활성화를 위한 학교협동조합지원센터 교육의 대물림, 새로운 교육으로 막아내야 한다 대학과 취업, 교육 양극화 시대의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
참고자료 부록| 교육디자인네트워크와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를 아시나요? 부록| 국가교육위원회 신설 시 교육부에서 재조정되어야 할 사안들
서가브라우징
한국 교육정책의 패러독스= Education policy paradox in Korea : Research and practice: 연구와 실제2023 / 지음: 신현석 외 / 박영스토리
(더 나은 세상을 위한)학교혁명 : 제3기 진보 교육감 시기의 학교정책2018 / 엮음: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 살림터
혁신교육 정책피디아 : 교육을 교육답게 학교를 학교답게 교사를 교사답게2018 / 지음: 한기현 / 맘에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