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차마고도(茶馬孤道) : 오심지다(吾心之茶) : 조윤수 차(茶)에세이집
발행연도 - 2014 / 조윤수 지음 / 수필과비평사
-
도서관
청라국제도서관
-
자료실
[청라국제]종합자료실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CI0000017338
-
ISBN
9791185796345
-
형태
275 p. 23 cm
-
한국십진분류
문학
>
한국문학
>
수필
-
카테고리분류
에세이/시/희곡
>
한국문학
>
에세이/산문
책소개
수필가 조윤수의 네 번째 수필집. 차라는 테마를 주재로 엮은 차에세이집이다. 우리 차문화에 대한 정보, 지식을 토대로 한 글쓰기가 아닌 직접 자신이 현장에서 체험하고 느낀 것을 적나라하게 담았다.
목차
책머리에
1부 수류화개실水流花開室
수류화개실水流花開室
추억의 오솔길
감춘
해 질 녘이면
암향
茶林에서 茶님과 동침하다
찻물 우러나는 봄 산
몽정산은 촉나라 아주산에 있다
모양 없는 찻그릇
북두로 은하수를 길어 밤 차를 달이네
영화로운 흰 꽃, 삼동을 뚫고
2부 염부단금 같은 꽃술
염부단금 같은 꽃술
재스민과 할머니 냄새
‘명창정궤明窓淨机’를 위하여
사랑도 햇 사랑
여름 나무를 바라보며
차례茶禮는 의식이 아니라 정성이지
철감선사 차茶 살림을 엿보다
진각국사의 원대한 다풍을 맛보다
춘수春瘦
다인茶人 매월당 김시습을 기리다
3부 다심가도茶心街道
푸른 보석을 가슴에 심고
다심가도茶心佳道
용봉 문양 불망비 앞에서
거품 같은, 물방울 같은
한국 최고 차수를 찾아서
망년지우忘年之友
설야雪夜
걷고 싶은 오솔길
4부 차를 보내며
차를 보내며
뜨거운 선물
찻물이 넘치오!
잔은 비어 있어야
변치 않는 친구가 있다면
차의 맛, 삶의 맛
내 마음의 차
음다조학飮茶助學
차茶 한 잔의 의미
5부 물은 차신茶神의 집
물은 차신茶神의 집
명당자리의 석간수
찻물, 신성한 선계의 빛깔
茶 한 잔에 세상 시름 잊게나
차문화의 기원과 전래
전래된 차 동요와 차 농요로 본 우리 차의 역사
이목의 차의 오공五功 육덕六德
노동盧仝의 칠완다가七?茶歌
차 명상
익어간다는 것
부록- 차 생활 상식
작품해설- 우리 차문화茶文化의 멋, 맛, 향기 / 정목일[한국수필가협회 이사장, 한국문협 부이사장]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1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1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