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영화를 활용한 다양한 글쓰기, 사고하기, 토론하기 교육의 사례를 제시한다. ‘영화, 글쓰기를 가르치다’, ‘영화, 글쓰기를 만나다’, ‘영화, 읽고 이야기하다’, ‘영화, 깊이 들여다보다’로 이어지며 다양한 관점으로 영화와 글쓰기를 접목하고 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머리에
제1부 영화, 글쓰기를 가르치다
왜 영화로 글쓰기 교육을 해야 하는가시론(試論) / 박정하
영화 형식을 활용한 묘사문 쓰기 / 함종호
영화를 활용한 창의적 사고와 발문하기, 어떻게 할 것인가 / 김소은
영화 감상 에세이, 부담 없이 쓰기 / 이상원
제2부 영화, 글쓰기를 만나다
영화와 소설을 활용한 성찰적 글쓰기 교육 ― 영화 <청야>와 단편소설 「도묘」를 중심으로 / 황영미
영화 <부당거래>를 활용한 “창의적 사고와 글쓰기” 교육 ― ‘공동체와 정의’ 주제 수업 사례 / 박현희
영화 <워낭소리>와 글쓰기 교육 / 황성근
자신을 만나는 글쓰기 ― 영화 <모터사이클 다이어리>를 중심으로 / 한경희
‘글쓰기의 준비’, <세 얼간이>에게 배우다 / 남진숙
제3부 영화, 읽고 이야기하다
대학 교양 교육에서의 텍스트 읽기 교육 ― 영화 <라쇼몽>을 텍스트로 하여_ 안철택
영화 <시라노>로 생각하고 표현하기 / 황혜영
같이 살 것인가, 헤어질 것인가? ― 영화 <내 아내의 모든 것>의 딜레마, 협상으로 해결하기 / 신희선
토론으로 가르치는 영화 읽기 ― 영화 <친구>를 예로 / 김경애
제4부 영화, 깊이 들여다보다
글쓰기가 어려운 이유 ― 영화 <시> 읽기 / 김중철
수사학 전통과 영화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 영화 <시>의 경우 / 김영옥
영화에 나타난 이중 구속의 애도 작업으로서 시 쓰기 ― <시>, <영원과 하루> / 안숭범
스포츠 경기의 영화화에 따른 담화전략 연구 ―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을 중심으로 / 박상민·정수현
비밀 햇살, 은밀한 은혜 ― 영화 <밀양>의 경우 / 김응교
저자 약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