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Ⅰ 한국교육사상
제1장 고대와 삼국시대 교육
1. 고조선
(1) 홍익인간
(2) 성년식
2. 고구려와 백제
(1) 태학
(2) 경당
(3) 내법좌평
3. 신라
(1) 화랑도
(2) 국학
4. 교육사상가
(1) 원효
(2) 설총
제2장 고려시대 교육
1. 학교제도
(1) 국자감
(2) 향교
(3) 동서학당
(4) 십이도
(5) 서당
2. 과거제
(1) 양대업
(2) 잡과
(3) 승과
3. 교육사상가
(1) 지눌
(2) 안향
제3장 조선시대 교육
1. 관학
(1) 성균관
(2) 향교
(3) 사학
(4) 학규
2. 사학
(1) 서원
(2) 서당
(3) 초학 교재
3. 과거제
(1) 문과
(2) 무과
(3) 잡과
(4) 잡학교육
4. 교육사상가
(1) 이황
(2) 이이
(3) 정약용
제4장 개화기 이후의 교육
1. 근대학교
(1) 신교육제도와 관학
(2) 민족 선각자의 근대학교
(3) 선교사의 근대학교
2. 일제식민지 교육
(1) 제1차 조선교육령기
(2) 제2차 조선교육령기
(3) 제3차 조선교육령기
(4) 제4차 조선교육령기
3. 교육사상가
(1) 안창호
(2) 방정환
Ⅱ 서양교육사상
제1장 고대 그리스의 교육
1. 교육제도
(1) 스파르타의 군인 교육
(2) 아테네의 전인 교육
2. 교육사상가
(1) 소피스트
(2) 소크라테스
(3) 플라톤
(4) 아리스토텔레스
제2장 고대 로마의 교육
1. 교육제도
(1) 로마의 역사와 문화
(2) 공화정 시대의 교육
(3) 제정시대의 교육
2. 교육사상가
(1) 키케로
(2) 퀸틸리아누스
(3) 카토
(4) 세네카
제3장 중세의 교육
1. 종교교육
(1) 수도원학교
(2) 교회부속학교
2. 세속교육
(1) 기사교육
(2) 대학교육
(3) 시민계급의 교육
3. 교육사상가
(1) 예수
(2) 아우구스티누스
(3) 카롤루스 대제
(4) 아퀴나스
제4장 문예부흥기의 교육
1. 인문주의 교육
(1) 르네상스
(2) 인문주의 교육의 유형
(3) 인문주의 학교
2. 인문주의 교육사상가
(1) 비토리노
(2) 에라스무스
(3) 비베스
제5장 종교개혁기의 교육
1. 신교의 교육
(1) 종교개혁의 배경과 성격
(2) 루터의 교육사상
(3) 멜란히톤의 교육사상
(4) 의무교육령
2. 구교의 교육
(1) 반종교개혁
(2) 예수회 학교
(3) 로욜라
제6장 실학주의 교육
1. 시대적 배경과 특징
2. 실학주의 교육의 유형
(1) 인문적 실학주의
(2) 사회적 실학주의
(3) 감각적 실학주의
3. 교육사상가
(1) 밀턴
(2) 로크
(3) 베이컨
(4)코메니우스
제7장 자연주의 교육
1. 18세기 교육
(1) 계몽주의와 자연주의
(2) 자연주의와 범애주의
2. 교육사상가
(1) 루소
(2) 바제도우
(3) 잘츠만
제8장 신인문주의 교육
1. 19세기 교육
(1) 심리적 계발주의
(2) 국가주의
2. 공교육제도의 발달
(1) 프랑스
(2) 독일
(3) 영국
(4) 미국
3. 교육사상가
(1) 페스탈로치
(2) 헤르바르트
(3) 프뢰벨
(4) 콩도르세
(5) 피히테
제9장 미국의 교육사조
1. 듀이의 교육사상
(1) 생애와 업적
(2) 교육사상
2. 킬패트릭의 진보주의
3. 배글리의 본질주의
4. 허친스의 항존주의
5. 브라멜드의 재건주의
제10장 유럽의 교육사조
1. 분석적 교육철학
(1) 분석철학
(2) 피터스의 분석적 교육철학
2. 실존주의 교육철학
(1) 등장 배경
(2) 부버의 만남의 교육
3. 비판주의
(1) 등장배경
(2) 하버마스와 의사소통적 합리성
(3) 프레이리의 의식화 교육
부록
1. 공자의 온고지신 교사관
2. 최한기의 사도론
3. 동서양 교육고전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