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제1부 범죄란 무엇인가
■ 범죄란 무엇인가
범죄에 대한 다양한 접근
법률적인 관점의 범죄의 한계
범죄에 대한 가치관의 혼란
■ 학교폭력은 어떤 것인가
학교폭력의 등장
나날이 심각해지는 학교폭력
학교폭력의 원인은 무엇인가
학교폭력의 올바른 대처방법
■ 동기가 없는 범죄도 있는가
성행하는 묻지마(무동기) 범죄
무동기 범죄-동기 없는 범죄?
무동기 범죄를 일으키는 사람들의 특징
무동기 범죄가 최근에 대두되는 이유
부동기 범죄에 대한 대책
■ 사이버범죄란 어떤 것인가
통신의 발달로 등장하는 사이버범죄
사이버범죄의 정의
사이버범죄의 유형
나날이 증가하는 사이버범죄와 그 예방
■ 대마초 합법화는 가능한가
마약범죄의 합법화는 가능한가
마약범죄, 전통적인 범죄유형과는 다른 범죄유형
마약범죄가 과연 피해자 없는 범죄인가
마약범죄의 비범죄화(Decriminalization)와 합법화(Legalization)
마약을 비범죄화하거나 합법화할 경우
마약정책, 공급의 차단인가 수요의 차단인가
마약공급 차단의 부작용
수요차단 노력의 결과
■ 화이트칼라범죄는 어떤 범죄인가
화이트칼라범죄의 정의와 구별실익
상위계층의 사람들이 범죄를 저지르는 이유
화이트칼라범죄를 줄일 수 있는 전략은
화이트칼라범죄가 주는 피해
화이트칼라범죄 폐해의 사례
화이트칼라범죄의 분류
화이트칼라범죄가 노상범죄보다 심각한가
■ 테러와 테러리즘은 어떻게 다른가
테러리즘이란
테러의 과거와 현재-공통점과 차이점
우리나라는 테러안전국가?
테러는 예측가능한가
제2부 범죄자 이야기
■ 범죄자는 태어나는 것인가(Nature) 만들어지는 것인가(Nurture)
범죄자 집안의 존재(범죄자가계연구)
범죄의 유전적 영향(쌍생아연구)
범죄의 환경적 영향(입양아연구)
■ 범죄형 외모는 따로 존재하는가
범죄형 얼굴
범죄형 체형
■ 범죄는 남성의 전유물인가
여성들의 범죄에 대한 입장
늘어나는 여성범죄자
여성 청소년의 범죄와 일탈
■ 범죄행위는 선택의 결과인가 충동의 산물인가
범죄자도 사고하는 존재
충동적 범죄에 대한 이야기
가장 효과적인 범죄통제는?
■ 우리는 살인범죄를 얼마나 알고 있는가
살인범죄
살인이 갖는 또 다른 신화(Myth)
■ 연쇄살인범은 사이코패스(Psychopath)인가
제3부 범죄원인 이야기
■ 가난이 죄인가 가난이 범죄의 원인
빈곤과 범죄와의 관계
실업과 범죄의 관련성
유전무죄, 무전유죄
범죄는 경제적 하위계층의 전유물인가
생계형범죄에 대한 관점
생계형범죄의 의미와 처벌가능성
■ 범죄는 계층갈등의 산물인가
지배계층에 의한 법의 지배
전통적 범죄에 대한 갈등론자들이 입장
■ 범죄도 학습의 결과인가
범죄도 유유상종?
청소년기 아이들의 비행
Mass Media와 모방범죄
모방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
범죄행위도 학습의 결과인가
■ 범죄다발지역(Hot Spot)은 따로 있는가
■ 범죄다발시간(Hot Time)은 따로 있는가
시간과 범죄와의 관계
■ 날씨도 범죄에 영향을 미치는가
범죄와 날씨에 대한 사람들의 선입관
제4부 범죄 피해자 이야기
■ 피해자에게도 범죄책임이 있는가
■ 피해자가 없는 범죄(Victimless Crimes)도 피해자가 있는가 피해자 없는 범죄는 존재하는가
피해자 없는 범죄의 특성
피해자 없는 범죄에 대한 대응
■ 범죄 피해아동의 법정 증언은 믿어야 하는가
■ 범죄에 대한 두려움(Fear of Crime)은 사실인가, 허구인가
계층에 따라 다른 범죄에 대한 두려움
범죄피해를 경험한 사람과 경험하지 않은 사람 사이에 생기는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차이
제5부 범죄 대응의 철학
■ 범죄와의 전쟁은 이길 수 있는가
범죄와의 전쟁에서 사용되는 전략과 전술
범죄와의 전쟁의 효과는
■ 범죄통제와 적법절차, 무엇이 더 중요한가
■ 「유전무죄, 무전유죄」가 사실인가
사회경제적 계층과 범죄와의 관계
제6부 범죄예방 및 진압
■ 환경설계로도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가
■ CCTV(Closed Circuit TV)가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가
CCTV 설치로 인한 범죄예방효과를 얻기 위한 방법
■ 깨어진 창 이론(Broken Windows Theory)과 무관용 경찰활동은 효과적인가
변화하는 뉴욕의 치안상황
깨어진 창 이론과 무관용 경찰활동
무관용 경찰활동의 이후
■ 범죄예보는 가능한가
■ 경찰의 신속한 신고출동이 능사인가
112 신고 체제의 운영
■ 프로파일링(Profiling)으로 범인을 잡을 수도 있는가
프로파일링의 분석대상들
제7부 범죄 사후대책, 형벌과 교정
■ 사형제도는 꼭 필요한가
사형 vs. 종신형
사형제도에 대한 입장
■ 성범죄자에 대한 화학적 거세는 필요한가
성범죄자에 대한 대책들
화학적 거세란
■ 성매매는 근절될 수 있는가
■ 삼진아웃제도는 효과가 있을까
■ 범죄에 대한 무능력화만이 재범방지의 유용한 대책인가
■ 교도소는 세탁소인가 염색공장인가
범죄자는 교화개선(Rehabilitation) 될 수 있는가
교도소의 교화개선 노력은 소용이 없는 것인가
교화개선적 교정의 평가와 효과
교도소는 과연 필요한가
■ 민간교도소는 괜찮은가
■ 범죄자의 신상은 공개되어야 하나
범죄자의 신상은 공개되어도 괜찮은가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