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제1장 소크라테스적 자아의 인식
Ⅰ. 머리말
Ⅱ. 소크라테스의 등장과 그 시대적 배경
1. 역사적 상황과 그 함축
2. 소크라테스의 등장과 자아의 탄생
Ⅲ. 도덕적 추론과 변증술
Ⅳ. 철학적 순교와 지식인
Ⅴ. 맺는 말
제2장 과학기술시대와 비판적 합리성
Ⅰ. 머리말
Ⅱ. 비판적 사고의 형성
Ⅲ. 과학의 이해와 과학의 세 국면
Ⅳ. 과학정신과 비판적 합리성
Ⅴ. 과학적 합리성 비판과 그 수용
Ⅵ. 맺는 말
제3장 한국의 민족사상과 공동체적 자아
Ⅰ. 머리말
Ⅱ. 민족 사상과 비판적 종합
1. 머리말
2. 단군신화와 비판적 종합의 특성
3. 불교 사상과 비판적 종합
4. 유교사상과 비판적 종합
5. 비판적 종합의 수준과 반성
6. 맺는 말
Ⅲ. 공동체적 자아와 한국민족주의
1. 머리말
2. 인격체와 인격적 자아
3. 공동체와 공동체적 자아의 개념
4. 맺는 말
Ⅳ. 한민족의 정체성과 민족적 자아
1. 머리말
2. 민족적 자아와 일제시대
3. 분단시대의 민족적 자아
4. 민족적 자아의 확인과 정립
5. 민족현실과 민족적 자아
6. 맺는 말
제4장 행복과 자아의 인식
Ⅰ. 머리말
Ⅱ. 행복의 의미
1. 머리말
2. 행복과 심리적 만족감
3. 행복과 윤리적 당위성
4. 행복과 합리적 인생계획
5. 행복과 섭리적 우연성
6. 과학기술과 인간의 행복
7. 맺는 말
Ⅲ. 자아 인식의 구조와 그 한계
1. 머리말
2. 자아 인식의 구조: 욕구와 능력과 당위
3. 자아 인식의 한계
4. 맺는 말
제5장 종합토론
Ⅰ. “격동의 시대와 자아의 인식”에 대한 논평
Ⅱ. “선도적 자아의 조건”에 대한 논평
Ⅲ. “격동의 시대와 자아의 인식”에 대한 논평
Ⅳ. 청중들의 질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