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우리아이 교육 문제, 대체 어찌해야 좋을까요?" 교육평론가 이범이 자녀교육, 입시제도, 교육정책에 관한 당신의 모든 의문에 답한다. 이 책은 학생과 학부모와 교사들에게 실질적으로 참고가 될 만한 실용적인 얘기들로 채워져 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머리말

1장/효율 - 한국식 공부법, 효율을 높여라
Q.001 한국식 공부법이 왜 비효율적이라는 건가요?
Q.002 수능과 학력고사의 차이가 뭔가요?
Q.003 ‘역량’을 평가한다는 말은 어떤 의미인가요?
Q.004 언어적 역량이 모자라면 수능에서 어떤 문제가 생기나요?
Q.005 영어 시험에도 ‘언어적 역량’이 필요한가요?
Q.006 언어적 역량을 키우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Q.007 독서는 어떻게 지도하는 게 좋을까요?
Q.008 수학적 역량을 키우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Q.009 앞으로 대학입시가 바뀔 수도 있지 않나요?
Q.010 요새 학생들의 공부기술이 어떤 면에서 취약한 거죠?
Q.011 왜 자기주도학습이 학원의존학습보다 효율이 높나요?
Q.012 성취도 관리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Q.013 초등학생은 자기주도학습이 왜 어려운 거죠?
Q.014 시간 관리는 어떻게 하는 게 좋아요?
Q.015 초등학교 시절 선행학습이 어떤 면에서 해롭다는 거죠?
Q.016 왜 종합반 학원을 피하라는 거죠?
Q.017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왜 평생의 자산이라는 거죠?
Q.018 공부에 의욕이 없는 것은 왜 그런 걸까요?
Q.019 학업 흥미도를 높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Q.020 공부 안 하면 큰일 난다는 협박이 왜 잘 안 통할까요?

2장/정보 - 왜곡된 교육정보, 당신은 제대로 알고 있는가?
Q.021 대치동 사교육은 정말 남다른가요?
Q.022 우리도 강남으로 이사해야 하는 건 아닐까요?
Q.023 요새 학교 시험은 왜 이렇게 어려운가요?
Q.024 대입제도가 왜 이렇게 복잡한 건가요?
Q.025 수능의 비중이 낮아졌다던데 정말 그런가요?
Q.026 선행학습이 왜 이렇게 성행하는 거지요?
Q.027 영어 조기교육은 가능한가요?
Q.028 수학 심화학습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Q.029 수학 선행학습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Q.030 문제를 무조건 많이 풀어봐야 하지 않나요?
Q.031 인터넷 강의는 어떻게 이용해야 하나요?
Q.032 컴퓨터와 휴대폰, 어떻게 통제해야 하나요?
Q.033 특목고에 가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Q.034 논술은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요?
Q.035 입학사정관제 준비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Q.036 입학사정관제를 위해 학교는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나요?
Q.037 고교 비평준화 지역이 평준화로 바뀌면 학력이 떨어지지 않나요?
Q.038 오바마는 왜 한국 교육을 부러워하는 거죠?
Q.039 혁신학교가 인기를 끄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Q.040 혁신학교는 연구학교·시범학교하고 뭐가 다른가요?

3장/미래 - 좌·우 합의로 우리교육의 지표를 바꾸자
Q.041 출산율이 낮아진 것이 교육과 어떤 상관이 있죠?
Q.042 정답을 빨리 찾는 능력을 키우는 게 교육의 목표 아닌가요?
Q.043 왜 창의력을 키우지 않으면 한국경제가 망한다는 거죠?
Q.044 산업계의 창의력을 높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Q.045 인터넷 강의를 들으면 되지 왜 학교에 다녀야 하는 거죠?
Q.046 아이들을 경쟁시켜야 경쟁력이 높아지는 거 아닌가요?
Q.047 인성교육을 더 강화해야 하지 않나요?
Q.048 의무교육 기간에 국가는 뭘 해줘야 하나요?
Q.049 우파는 어떤 생각을 버려야 하나요?
Q.050 좌파는 어떤 생각을 버려야 하나요?

4장/과제 - 한국 교육의 핵심 문제와 대안은 이것이다
Q.051 교사에게 채워진 ‘3중 족쇄’란 무엇인가요?
Q.052 일제고사의 대안은 무엇인가요?
Q.053 학교가 입시교육을 하는 건 필요악인가요?
Q.054 대학입시는 왜 논술형으로 바뀌어야 하나요?
Q.055 왜 다들 ‘인문계’ 고교에 가서 ‘국영수’를 공부해야 하는 거죠?
Q.056 학생과 교사에게 어떤 선택권을 줘야 하나요?
Q.057 교과교실제와 집중이수제는 선진적인 제도 아닌가요?
Q.058 고교평준화와 특목고 문제,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요?
Q.059 자사고를 포함한 전반적인 고교 체계는 어떻게 바로잡는 게 좋을까요?
Q.060 입학사정관제가 곧 대입전형의 ‘대세’가 되지 않을까요?
Q.061 선진국에서는 다들 입학사정관제로 선발한다던데요?
Q.062 학벌주의가 심해지고 있는 건가요, 약해지고 있는 건가요?
Q.063 학벌주의를 줄이려면 대학을 손봐야 하지 않나요?
Q.064 왜 서양에서는 상대평가를 안 하나요?
Q.065 카이스트와 로스쿨에서는 왜 상대평가를 도입했나요?
Q.066 노무현·김대중 정부의 교육정책은 왜 실패했나요?
Q.067 이명박 정부의 교육정책은 왜 실패했나요?
Q.068 사교육을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Q.069 학교는 왜 이렇게 무능한 거죠?
Q.070 교육을 ‘토목공사’가 아니라 ‘생태계 관리’하듯이 하라구요?

덧붙이며/인터뷰 - 교육평론가 이범의 이야기 Q.071 ∼ Q.100

부록 찾아보기 index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듀이와 인문학 교육 듀이와 인문학 교육 2018 / 저: Paul Fairfield ; 역: 김찬미 / 씨아이알
인간성 수업 : 새로운 전인교육을 위한 고전의 변론 인간성 수업 : 새로운 전인교육을 위한 고전의 변론 2018 / 지음: 마사 C. 누스바움 ; 옮김: 정영목 / 문학동네
인간성 수업 : 새로운 전인교육을 위한 고전의 변론 인간성 수업 : 새로운 전인교육을 위한 고전의 변론 2018 / 지음: 마사 C. 누스바움 ; 옮김: 정영목 / 문학동네
학교는 죽었다 학교는 죽었다 1996 / 지음: E. 라이머 ; 옮김: 김석원 / 한마당출판사
미디어로 여는 세상 미디어로 여는 세상 2005 / 지음: 강정훈...[등] / 한나래
교육은 사회를 바꿀 수 있을까? : 또 다른 교육 더 나은 세상 교육은 사회를 바꿀 수 있을까? : 또 다른 교육 더 나은 세상 2014 / 마이클 애플 지음 ; 강희룡 ...[등]옮김 / 살림터
교육은 사회를 바꿀 수 있을까? : 또 다른 교육 더 나은 세상 교육은 사회를 바꿀 수 있을까? : 또 다른 교육 더 나은 세상 2014 / 마이클 애플 지음 ; 강희룡 ...[등]옮김 / 살림터
우리교육 100문 100답  : 교육평론가 이범, 당신이 가진 모든 의문에 답하다 우리교육 100문 100답 : 교육평론가 이범, 당신이 가진 모든 의문에 답하다 2014 / 이범 지음 / 다산북스
교사 불신 : 우리가 애써 외면했던 현상의 이면 교사 불신 : 우리가 애써 외면했던 현상의 이면 2019 / 지음: 홍섭근 / 테크빌교육
다중지능 다중지능 2007 / 하워드 가드너 지음 ; 문용린, 유경재 옮김 / 웅진씽크빅
교사와 학생 사이 교사와 학생 사이 2015 / 하임 G. 기너트 지음 ; 신홍민 옮김 / 양철북
잠재력을 깨우는 두뇌심리 잠재력을 깨우는 두뇌심리 2013 / 김동철 지음 / 경향비피
잠재력을 깨우는 두뇌심리 잠재력을 깨우는 두뇌심리 2013 / 김동철 지음 / 경향비피
마인드세트 교실 혁명 : 지능과 학업 성취에 대한 새로운 생각 마인드세트 교실 혁명 : 지능과 학업 성취에 대한 새로운 생각 2015 / 메리 케이 리치 지음 ; 김윤경 옮김 / 우리가
비고츠키의 발달교육이란 무엇인가? 비고츠키의 발달교육이란 무엇인가? 2018 / 지음: 비고츠키교육학실천연구모임 / 살림터

같이 빌린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내 친구 아서 : [DVD]. 4집-1, Based on a true story 진짜 있었던 일 내 친구 아서 : [DVD]. 4집-1, Based on a true story 진짜 있었던 일 2015 / 스크린에듀케이션 [제작] / 스크린에듀케이션 [제작]
왓칭 2 :  시야를 넓힐수록 마법처럼 이루어진다. 2 왓칭 2 : 시야를 넓힐수록 마법처럼 이루어진다. 2 2016 / 김상운 / 정신세계사
(우리 아이)자존감의 비밀 (우리 아이)자존감의 비밀 2011 / 조세핀 킴 지음 / 서울문화사
세계 최고의 학교는 왜 인성에 집중할까 세계 최고의 학교는 왜 인성에 집중할까 2014 / 최유진, 장재혁 [공]지음 / 다산에듀
마흔 이후, 이제야 알게 된 것들  : 살면 살수록 뼛속까지 사무치는 인생의 우선순위들 마흔 이후, 이제야 알게 된 것들 : 살면 살수록 뼛속까지 사무치는 인생의 우선순위들 2012 / 김경집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
공부 못하는 아이는 없다 공부 못하는 아이는 없다 2015 / 박민근 지음 / 청림
진로교육, 아이의 미래를 멘토링하다 진로교육, 아이의 미래를 멘토링하다 2013 / 조진표 글 / 주니어김영사
(만화로 쉽게 배우는) 전기회로 = Electrical circuit (만화로 쉽게 배우는) 전기회로 = Electrical circuit 2013 / Iida Yoshikazu 지음 ; 야마다 가레키 그림 ; 양나경 옮김 / BM성안당
만화로 쉽게 배우는 전기 = Electricity 만화로 쉽게 배우는 전기 = Electricity 2007 / 지음: 카즈히로 후지타키 ; 그림: Matsuda ; 옮김: 홍희정 / BM성안당
나의 직업 우리의 미래 나의 직업 우리의 미래 2018 / 지음: 이범 / 창비
오늘 처음 교단을 밟을 당신에게  : 26년차 교사 안준철의 '시나브로' 교실 소통법 오늘 처음 교단을 밟을 당신에게 : 26년차 교사 안준철의 '시나브로' 교실 소통법 2012 / 지음: 안준철 / 문학동네
가장 낮은 데서 피는 꽃  : 쓰레기마을 톤도에서 발견한 희망의 교육 가장 낮은 데서 피는 꽃 : 쓰레기마을 톤도에서 발견한 희망의 교육 2012 / 이지성 ; 김종원 지음 ; 유별남 사진 / 문학동네
수능국어의 정석 : 출제의도를 꿰는 최적의 공부법 수능국어의 정석 : 출제의도를 꿰는 최적의 공부법 2016 / 강상희 지음 / 아우름
First-grade bunny First-grade bunny 2005 / written by Margaret McNamara ; Iiiustrated by Mike Gordon / Aladdin Paperbacks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인성이 실력이다 : 성공하고 행복한 삶을 위한 조벽 교수의 제안 인성이 실력이다 : 성공하고 행복한 삶을 위한 조벽 교수의 제안 2016 / 지음: 조벽 / 해냄
인간성 수업 : 새로운 전인교육을 위한 고전의 변론 인간성 수업 : 새로운 전인교육을 위한 고전의 변론 2018 / 지음: 마사 C. 누스바움 ; 옮김: 정영목 / 문학동네
삐딱할 용기 : 불온한 교사 양성 과정. 3 삐딱할 용기 : 불온한 교사 양성 과정. 3 2018 / 지음: 하승수 [외] / 교육공동체 벗
시민교육이 희망이다 :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철학과 실천모델 시민교육이 희망이다 :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철학과 실천모델 2017 / 지음: 장은주 / 피어나
논쟁 수업으로 시작하는 민주시민교육 : 비판적 사고와 시민성 교육을 위한 안내서 논쟁 수업으로 시작하는 민주시민교육 : 비판적 사고와 시민성 교육을 위한 안내서 2018 / 지음: 넬 나딩스,, 로리 브룩스 ;, 옮김: 정창우,, 김윤경 / 풀빛,
(4차 산업혁명 시대 창의인재를 만드는)미래의 교육 (4차 산업혁명 시대 창의인재를 만드는)미래의 교육 2019 / 지음: 김경희, 옮김: 손성화 / 예문아카이브
공부를 공부하다 : 사교육 이기는 공교육 효과 공부를 공부하다 : 사교육 이기는 공교육 효과 2020 / 지은이: 박재원, 정유진 / 에듀니티
4차 산업 혁명 시대, 우리 아이의 미래는?  4차 산업 혁명 시대, 우리 아이의 미래는? 2018 / 지음: 전진한 / 다림
독일 교육, 왜 강한가?  : 더불어 사는 삶을 가르치는 현장 독일 교육, 왜 강한가? : 더불어 사는 삶을 가르치는 현장 2015 / 박성희 지음 / 살림터
대학의 배신 : 인문학은 N포 세대를 구원할 수 있는가? 대학의 배신 : 인문학은 N포 세대를 구원할 수 있는가? 2016 / 지음: 마이클 S. 로스, 옮김: 최다인 / 지식프레임
(교사와 부모를 위한)발달교육이란 무엇인가? (교사와 부모를 위한)발달교육이란 무엇인가? 2017 / 지음: 현광일 / 살림터
앞서가는 아이들은 어떻게 배우는가 앞서가는 아이들은 어떻게 배우는가 2020 / 지음: 알렉스 비어드; 옮김: 신동숙 / 아날로그:
(하버드 시대의 종말과)학습 혁명 (하버드 시대의 종말과)학습 혁명 2020 / 지음: 오강선 / 클라우드나인
입시 가족  : 중산층 가족의 입시 사용법 입시 가족 : 중산층 가족의 입시 사용법 2013 / 김현주 지음 / 새물결
무엇이 이 나라 학생들을 똑똑하게 만드는가 : 미국을 뒤흔든 세계 교육 강국 탐사 프로젝트 무엇이 이 나라 학생들을 똑똑하게 만드는가 : 미국을 뒤흔든 세계 교육 강국 탐사 프로젝트 2014 / 아만다 리플리 지음 ; 김희정 옮김 / 부키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1
30대2
40대9
50대6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3
2017년8
2018년3
2019년2
2020년1
2021년0
2022년0
2023년1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