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서장
'온순하나 날카로움' 중정이 평가한 장준하
1967년 4월 22일 연설 전문 최초 공개
1장 광복군 장준하 1918~1962
1915년과 1918년, 두 개의 출생 연도
일제 향한 첫 항거, 1937년 동맹 시위
신안소학교 교원에서 일본 유학까지
김희숙과 장석인을 지켜낸 희생
장준하의 평생 벗 김준엽
임정을 향한 6000리 대장정과 《등불》
“임정 청사에 폭탄을 던지고 싶다”
한반도 잠입 위해 OSS 요원이 되다
백범의 죽음과 한국전쟁
1953년 《사상계》를 창간하다
한국인 최초로 받은 막사이사이상
장준하와 5·16 군사쿠데타
“장준하 선생이 대통령에 출마했다면”
‘혁명 공약’ 깬 박정희의 거짓말
장준하와 박정희, 숙명적인 충돌
2장 중앙정보부, 장준하를 기록하다 1963~1973
중정이 기록한 장준하 유세 발언
박정희의 굴욕적 한일조약
6·3 사태와 계엄령 선포
‘국가원수 모독죄’로 구속되다
“단 한 사람, 박정희만은 안 된다”
“부정선거, 도둑 맞지 마십시오”
중정의 《사상계》 부도 공작
두 번째 구속, 옥중 출마 선언하다
“국회의원 명함 한 장 있어요?”
본격적인 미행과 사찰, 도청
박정희 ‘3선 개헌’ 날치기 통과
두 번째 쿠데타 ‘10월 유신’
유신독재에 저항하다
김대중 납치, 정치인 암살 신호탄?
‘납치 주범은 누구인가’ 이철희의 증언
중정이 기록한 1973년 첫 시국 선언
유신독재 정조준 ‘100만인 서명운동’
다급해진 박정희의 최후통첩
3장 장준하, 박정희를 넘어서다 1974~1975. 7.
장준하의 입을 막아라
‘긴급조치’ 발동부터 연행까지
“개헌에 대한 소신은 변함없다”
차라리 감옥에서 죽겠다
“장준하를 석방하라” 박정희의 굴복
《돌베개》를 다시 쓰다
〈동아일보〉 탄압과 장준하의 응원
유신헌법 찬반 투표에 반대하다
‘개헌안 단일화 촉구’ 기자회견
중정의 ‘위해분자 관찰계획 보고’
유신독재 타도 위해 전부를 걸다
김대중과의 화해, 그리고 결단
2차 100만인 서명운동을 도모하다
‘장준하의 거사’ 알고 있었던 중정
4장 장준하, 영원히 살다 1975. 8.~2013
고통과 희망, 그리고 비극의 8월
그날 중정은 무엇을 기록했나
사인 의혹 보도로 추방된 외신 기자
그들은 ‘진실’을 알고 있었다
어둠과 싸운 사람만이 빛이 된다
국민 가슴속에 묻힌 큰 별, 장준하
죽어서도 계속된 중정의 감시
37년 만에 밝혀진 타살 증거
위대한 ‘대한민국 애국자’ 장준하
에필로그
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