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주택디자인의 거장 미야와키 마유미가 설계한 주택 40채를 낱낱이 해부하며 소개한다. 집의 전체와 세부를 나누는 평면 디자인부터 각 공간 디자인, 창문 등의 세부 디자인과 주위 풍경 디자인까지, 풍성한 원색 일러스트와 사진을 통해 생생하게 전달한다.
목차
1장 미야와키 마유미의 주택디자인 1 생활을 상자에 아름답게 수납한다 2 단순한 상자로 다양한 형태를 만든다 3 느슨함이 있는 단면을 생각한다 4 2개의 구조를 혼합한다 5 공간을 연결하고 분리한다 6 거실을 공중에 띄운다 7 회유 공간을 적극 활용한다 COLUMN 미야와키 마유미의 주택을 읽어내는 세 가지 키워드 8 상자 여러 개를 조합한다
2장 대지 전체를 고려한다 1 대지의 특징을 파악한다 2 옛것과 새것을 아우른다 3 대지 구석까지 살린다 4 뜰을 가꾸어 풍요로운 주거환경을 만든다 5 넓은 테라스는 거실의 연장 공간 6 집은 변화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7 주위 풍경을 읽는다
3장 주택 평면 디자인 1 모듈을 철저히 하면 낭비가 줄어든다 2 궁극의 콤팩트하우스의 비밀 3 콤팩트하우스는 수납도 세밀하게 계획한다 4 주거 밀집 지역에서 생활의 중심은 2층이 좋다 5 LDK가 생활의 중심 6 사람은 물론 빛과 바람도 드나드는 플랜 7 애매한 공간이 생활을 풍요롭게 한다 8 불편함을 즐기는 여유 9 비를 피할 수 있는 공간을 선사한다 10 광장을 중심으로 한 휴식 공간 11 색으로 가득 찬 비일상 공간 12 테라스는 생활에 변화를 준다 13 빛과 바람은 통과시키지만 사생활은 보호하는 베란다 14 자연을 살린 건물 계획 15 고래 모양에 의미가 있다 16 이레코 구조의 원룸 17 ‘모비딕’이 만들어지기까지 18 훌륭한 클라이언트가 명작을 만든다
4장 주택 공간 디자인 거실 1 거실은 휴식과 초대의 장소 2 거실의 소파는 단순한 의자가 아니다 3 남쪽뿐 아니라 북쪽에서도 빛과 바람이 들어온다 4 선룸은 거실의 보조 공간 5 알코브의 소파는 거실의 요람 6 교차하는 부분에서 안정감을 얻는다 7 거실과 식당의 관계 8 공중 피트가 있는 기분 좋은 거실 9 피트가 사람을 모으는 중심이 된다 10 식탁과 소파, 원형 피트의 조화 11 소파로 가득 채워진 거실 12 거실에는 붙박이 소파가 필수 부엌과 식당 13 부엌·식당·거실의 안락한 삼각관계 14 다양한 대면식 부엌 15 작업 동선과 편리한 사용을 고려한 치수 16 효율적인 독립 부엌 17 밝고 환한 식당부엌 18 마음대로 변신하는 식당부엌 19 접이문과 미닫이로 자유롭게 연결하고 분리한다 20 가스레인지 앞 작은 벽에 의미가 있다 21 콤팩트한 식당부엌 22 비행기 조종석 같은 협소부엌 23 자연스레 거실로 이어지는 식당부엌 24 식탁을 중심으로 한 원룸 LDK 25 식당부엌은 치수가 중요 26 안정감 있는 칸막이 좌석 식당 27 식당과 부엌을 위한 입체적인 채광 28 부엌의 채광과 환기를 함께 처리한다 29 부엌으로의 2단계 채광 30 식탁과 조리대의 높낮이 차 처리하기 31 아름답고 쾌적한 부엌 32 다다미방과 하나가 된 식당 침실 33 좁아도 틀어박힐 수 있는 서재를 갖고 싶은 법 34 공중 침실에서 잠을 자다 35 클로짓과 세면대가 있는 침실 36 좁은 침실의 여유로움 37 클로짓과 서재가 있는 은둔형 침실 38 아늑한 침실에 마련된 서재 + 클로짓 + 화장실 39 부모님 방에는 화장실·욕실을 가까이에 배치 자녀 방 40 자녀 방은 넓이보다 높이를 이용해 입체적으로 활용한다 41 형제애를 기르는 2단 침대 42 함께 노는 공간에서 싹트는 형제애 43 나란히 공부하는 두 아이의 방 서재, 주부 공간 44 부엌 옆 주부의 휴식 공간 45 안뜰 + 복층에 면한 여유로운 서재 46 소파가 침대로 변신하는 독립 서재 욕실, 화장실 47 모든 것을 내려놓을 수 있는 욕실 48 욕실 앞에 빛과 바람이 통하는 길목을 둔다 49 노천온천 느낌의 욕실 현관, 입구 50 현관은 너무 개방적이지도, 너무 폐쇄적이지도 않게 51 전망창이 맞이하는 현관 52 방문객도 주인도 아름답게 보이는 입구
5장 주택 세부 디자인 1 많은 창호가 필요한 이유 2 협소주택이나 주거 밀집 지역에는 출창이 어울린다 3 창호는 목재로 한정한다 4 장지문은 다다미방의 전유물이 아니다
6장 주위 풍경 디자인 1 주택지에는 공공 공간이 반드시 필요하다 2 소통의 장이 된 카포트 3 차가 없을 때도 가치 있는 카포트 4 자동차는 아름답게 주차할 수 있어야 한다
미야와키 주택 리스트 책을 마치며
서가브라우징
작은집이 더 아름답다 : 전원으로 가는 길에 징검다리가 되어 줄 소형주택2010 / 김집 글 / 책만드는토우
작은집이 더 아름답다 : 전원으로 가는 길에 징검다리가 되어 줄 소형주택2010 / 김집 글 / 책만드는토우
집 = HOUSE : 집짓기 전 꼭 알아야 할 모든 것2014 / 지음: 김창균 / 경향미디어
나는 어떤 집에 살아야 행복할까?2012 / 글: 고제순, 서윤영, 노은주, 이재성, 조광제, 손낙구 / 철수와영희
나는 어떤 집에 살아야 행복할까?2012 / 글: 고제순, 서윤영, 노은주, 이재성, 조광제, 손낙구 / 철수와영희
집, 집, 집. : 동굴 집에서 유리집까지 아름다운 그림으로 속속들히 들여다보는 세상 곳곳의 사람 사는 공간2015 / 나카야마 시게노부, 마쓰시타 기와, 이토 마리코, 사이토 레이카 [공]지음 ; 김은진 옮김 / 다빈치
집을 생각한다 : 집이 갖추어야 할 열두 가지 풍경2008 / Nakamura Yoshifumi 지음 ; 정영희 옮김 / 다빈치
(세상에서 가장 친절한) 주택디자인 교과서 : 일상의 표정이 살아 있는 아름다운 공간 만들기2013 / 지음: 나카야마 시게노부 ; 옮김: 김은진 / 다빈치
(실패하지 않는) 내 집 짓기2018 / 지음: 유현준 ; 조성익 ; 김양길 ; 윤재선 ; 심영규 / garmSSI(감씨)
내가 살고 싶은 작은 집2017 / 지은이: 노은주, 임형남 / 위즈덤하우스
내가 살고 싶은 작은 집2017 / 지은이: 노은주, 임형남 / 위즈덤하우스
집을 위한 인문학 : 집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2019 / 지음: 노은주, 임형남 / 인물과사상사
집을 위한 인문학 : 집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2019 / 지음: 노은주, 임형남 / 인물과사상사
작은 집 설계 도감 : 건축가에게 가기 전 직접 해보는 내 집 설계 622017 / 지음: 제럴드 로언 ; 옮김: 김예원 / 보누스
나의 주택 설계 : 르.코르뷔지에/안도 다다오 주택작품 공간분석 2024 / 지음: 류봉렬 , 허원 / 건축세계
같이 빌린 책
땅 사서 지을까 집 사서 고칠까 : 도시를 떠나 마당 있는 집을 갖는 두 가지 방법 집 짓기 & 집 고치기 프로젝트2016 / 윤세상 지음 / 휴
오늘 내가 사는 게 재미있는 이유2015 / 김혜남 지음 / 갤리온
첫아이 초등학교 보내기2015 / 방민희, 베스트베이비 편집부 [공]지음 / BBBooks
작은 집, 다른 삶2015 / 황수현 지음 / 안그라픽스
마흔에 살고 싶은 마당 있는 집 : 아파트 전셋값으로 도심 속 단독주택 갖기 프로젝트!2013 / 지은이: 이승헌 ; 이종민 / 인사이트북스
(공부가 즐거워지는 습관,)아침독서 10분2005 / 남미영 지음 / 21세기북스
아파트 버리고 살고 싶은 집 짓기 : 한 권으로 끝내는 집짓기 기본 레슨2014 / 지은이: 니시야마 데츠로 ; 옮긴이: 박재현 / 아름다운사람들
최고의 평면 : 삶을 결정하는 공간배치법2013 / 혼마 이타루 지음 ; 박승희 옮김 / 마티
최길찬의 상가주택 이야기 : 은퇴자들의 확실한 투자처, 상가주택에 대한 모든 것2012 / 최길찬 지음 / 田友文化社
(The) ARC : four rivers culture pavilion the ARC2013 / designed by ASYMPTOTE ; Joon-hee, Lee, Bo-ra, Kim ; translated by Jee-Yeon, Ha, Guy Zikwature / Equal Books
건축과 교수는 이렇게 집을 짓는다 : 건축과 교수가 직접 도전한 상가주택 완공기2017 / 지음: 김선규 / 북랩(book Lab)
돈버는 집짓기 : 독한 건축주들의 절대 손해 안 보는 노하우2018 / 지은이: 서동원 / 비앤컴즈
집 한 채 짓고 10년 늙지 않는 비법 : 건축분쟁 예방 및 대처법2017 / [공저]: 김법구, 김은유 / 파워에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