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간은 왜 춤을 추는가 : 인류의 춤 문화 코드 읽기
발행연도 - 2013 / 신상미 지음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도서관
청라국제도서관
-
자료실
[청라국제]종합자료실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CI0000013370
-
ISBN
9788973009954
-
형태
493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예술
>
공연예술 및 매체예술
>
무용, 발레
-
카테고리분류
의학/건강
>
건강운동
>
요가/체조/스트레칭
책소개
인류학적 관점에서 문화로서의 ‘춤’에 대해 다루고 있는 연구서로서, 인간의 삶 속에 녹아 있는 춤의 문화적 코드를 어떻게 읽고 해석할 수 있는지에 관해 풍부한 사진 자료를 곁들여서 재미있게 풀어내고 있다.
목차
서문
제1장 춤과 인간
1. 인간의 춤과 자연의 춤
2. 인간의 춤과 삶
1) 동서양 신화로 본 춤과 삶
2) 동서양 역사로 본 춤과 사회
3. 춤의 본질
1) 몸, 마음, 정신의 합일체
2) 내적 충동이 근원이 되는 몸의 움직임
3) 역동적 이미지
4) 의사소통의 수단
5) 인류 문화의 한 요소
제2장 인류학과 춤 문화 코드
1. 춤 인류학의 관점과 방법
1) 인류학적 관점
2) 인류학적 방법
2. 춤 인류학의 핵심 주제 및 연구 사례
1) 춤 인류학의 핵심 주제
2) 춤 인류학의 연구 사례
3. 춤 문화 코드 읽기 방법
1) 춤 문화 코드 분류 체계
2) 춤 문화 코드 읽기 방법
제3장 인류의 춤 문화 코드 읽기
1. 춤 문화 코드 읽기를 위한 개념 탐구
1) 종족과 민족
2) 민족 문화와 전통
3) 예술 문화와 상징
4) 대중문화와 소비
2. 인류의 춤 문화 코드 읽기
1) 신화와 제의
2) 사상과 종교
3) 민속과 놀이
4) 전통과 문화유산
5) 정치와 사회
6) 젠더와 성
7) 예술과 상징
8) 시뮬라크르와 소비: 미디어 속의 춤 이미지
제4장 춤의 의미와 힘
1. 춤의 의미
1) 본능 표출과 카타르시스의 경험
2) 민족과 사회 문화의 표현
2. 춤의 힘
1) 즉시적 현장성과 다중적 감각성
2) 문화적 상징성과 사회적 소통성
3. 인간은 왜 춤을 추는가?
1) 춤을 추는 이유
사진 출처
참고 문헌
찾아보기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1 |
20대 | 1 |
30대 | 1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1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1 |
2018년 | 1 |
2019년 | 1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1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