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제주 철학, 동양양적 생태 담론의 가능성
제1장 로컬리티 담론과 제주학 연구 현황
Ⅰ. 문제제기
Ⅱ. 로컬리티 담론의 비판적 검토
Ⅲ. 로컬리티 담론으로서 제주학 연구 현황
Ⅳ. 제주, 철학하기의 가능성과 방향성
Ⅴ. 제주, 철학하기의 전제조건
제2장 대안적 패러다임론과 오리엔탈리즘적 접근에 대한 비판
Ⅰ. 문제제기
Ⅱ. 동양적 사유와 자각주재(自覺主宰)로서의 인간
Ⅲ. 천지자연(天地自然)과 천도(天道)의 세계
Ⅳ. 동양적 사유에서의 생명과 대안적 패러다임론
Ⅴ. 동양적 생태담론의 가능성과 전제조건
제2부 타자의 시선으로 본 제주
제3장 석주명의 『제주도수필집』에 나타난 타자적 인식에 대한 비판
Ⅰ. 문제제기
Ⅱ. 석주명의 제주도 자료 구조 분석
Ⅲ. 석주명의 제주도 자연 환경 인식
Ⅳ. 석주명의 제주도 인문 환경 인식
Ⅴ. 타자에 의한 제주도 문화 인식의 가능성과 한계
제4장 영주십경(瀛州十景)으로 본 조선 유학자의 선경(仙境) 인식과 태도
Ⅰ. 문제제기
Ⅱ. 조선 유학자의 유산(遊山) 행위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
Ⅲ. 영주산(瀛州山)의 성격과 공간적 특징
Ⅳ. 조선 유학자의 인문 텍스트에 나타난 영주십경
Ⅴ. 인문학적 공간 회복의 가능성과 전제조건
제3부 주체의 시선으로 본 제주
제5장 매계(梅溪) 이한우(李漢雨)의 '낯선 공간'으로서 영주(瀛州)
Ⅰ. 문제제기
Ⅱ. 분리(分離): ‘낯선 공간’의 인식
Ⅲ. 원행(遠行): ‘낯선 공간’의 체험
Ⅳ. 반본(反本): ‘낯선 공간’의 창조
Ⅴ. 보편 관념 획득의 가능성과 전제조건
제6장 '카미노'와 '올레'를 중심으로 본 문화콘텐츠로서의 길[道]
Ⅰ. 문제제기
Ⅱ. 길[道]의 전통적 의미 찾기와 재해석 방식
Ⅲ. 카미노 데 산티아고(Camino de Santiago)와 순례
Ⅳ. 제주올레와 ‘집으로 돌아가는 길’
Ⅴ. 기억과 새로운 서사에 관한 제안
제4부 주체와 타자의 이중 시선으로 본 제주
제7장 제주의 유학, 제주의 철학
Ⅰ. 문제제기
Ⅱ. 타자(他者)의 시선: 계몽주의 교학(敎學)으로서 조선유학
Ⅲ. 주체(主體)의 시선: 지배 이데올로기로서 조선유학
Ⅳ. 도학적(道學的) 지치주의(至治主義)의 이중적 변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