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삼국시대 초기 국가 단계의 물질문화 양상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현상으로, 거대한 기념물로서의 고총고분, 화려한 금공제 위세품, 기술력의 산물인 수공업 제품, 도시화에 따른 새로운 문화경관의 형성 등에 주목하고, 이러한 물질문화가 등장한 역사적, 정치.사회.기술적인 맥락을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총론
1부. 고총 고분의 형성과 매장 시설의 변화
• 선고구려·고구려 초기의 기술 혁신과 고분 구조와 장제의 전환-환인 일대를 중심으로 (오강원)
• 집안 통구 분지 고구려 고분군의 조영 과정 연구 (최종택)
• 신라 고총의 발생과 전개 (김용성)
• 분구의 구축 과정을 통해서 본 삼국시대 분묘의 비교 연구 (요시이 히데오)
2부. 초기 국가의 상호 작용과 위세품 제작의 사상
• 규두대도를 통해 본 백제, 영산강 유역 세력, 왜의 관계 (김낙중)
• 고대 등자에 관한 새로운 고찰 (텐리쿤)
3부. 생산 기술의 발전과 전문화에 대한 과학적 연구
• 삼국시대 고분 출토 금·은·금동 제품의 특성 고찰 (김규호)
• 5~7세기 일본의 금·은·금동 제품의 자연과학적 조사-야금 관련 유적 출토 유물 및 도장구 비교·조사 (후리하타 준코)
4부. 도시화와 초기 국가의 문화 경관
• 초기 국가의 물질문화와 문화 경관 (이성주)
• 삼국 초기 도성의 형성 과정과 입지상의 특징 (여호규)
*부록_금동이식 분석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