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언비어의 사회심리학 책. 사람들에게 사회 환경의 변화를 적절하게 설명해주어 심리적인 안정을 찾도록 해주는 정보가 부족한 상황에서 유언비어는 발생하게 되어 있다. 저자는 정보에 대한 굶주림, 이것이 유언비어의 최적의 지반이라고 강조한다.
목차
옮긴이의 말
Ⅰ―유언비어 머리말 푸가초프 전설 ― 유언비어의 정의를 대신하여 제1부 유언비어와 보도 1. 보도의 기능 2. 유언비어의 발생 3. 유언비어의 구조 4. 유언비어의 근거 5. 유언비어에 대한 대책 6. 사실의 분류 7. 환경과 이미지 8. 지식과 신앙 9. 약간의 교훈 제2부 유언비어와 여론 1. 두 종류의 여론 2. 유언비어의 문법 3. 유언비어와 유토피아 이야기 4. 유언비어와 신화 5. 보도 통제와 여론 통제 6. 군중과 공중 7. 잠재적 공중 8. 유언비어와 소문 9. 과시 본능 10. 침묵과 언어 결론
Ⅱ―개인적 체험 일본인의 자연관―간토대지진 1. 새로운 현실 2. 자연의 불안과 사회의 불안 3. 천견이라는 관념 4. 천견의 비선택성 5. 구메 마사오, 기쿠치 히로시,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6. 천견의 아나키 7. 판잣집 8. 목조 건축물 9. 폭력으로서의 자연과 미로서의 자연 10. 일본의 가을 후기 대지진은 나를 바꾸었다 지진의 전후 사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