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누가 일본을 통치하는가 : 일본의 관료구조 해부
발행연도 - 2015 / 지음: 위톈런 ; 옮김: 박윤식 / 나남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53661
-
ISBN
9788930088183
-
형태
337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사회과학
>
정치학
>
-
카테고리분류
역사/문화
>
동양사
>
일본사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은 아시아에서 제일 먼저 성공적으로 자본주의를 발전시키고, 선진국의 대열에 진입하였다. 일본의 성공은 상당한 부분,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주도적이고 적극적이며 게다가 청렴성까지 갖춘 고급공무원 집단의 존재 때문이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 역자 서문 5
∙ 글머리에 9
1
관료의 탄생
∙ 관료의 나라 일본 19
∙ 무사에서 관료로 24
∙ 관료는 세습할 수 없다 29
∙ 학교를 세워 인재를 양성하다 34
∙ ‘관리양성소’인 제국대학 39
∙ 많고 많은 관리 나으리 44
∙ 일본의 과거제도 48
∙ 중국의 과거제도 53
∙ ‘문관 임용령’ 56
∙ 정치가는 관료가 아니다 61
2
콧대 높은 관료집단
∙ ‘높은 급여’가 곧 ‘청렴’을 보장하는가? 69
∙ 자존심과 청렴 74
∙ 관직은 포획물인가? 79
∙ ‘혁신관료’의 등장 84
∙ 좌경화의 시대 88
∙ 기시 노부스케 93
∙ 독일에게서 배우다 98
∙ 만주 103
∙ 호시노 나오키 만주에 가다 108
∙ 기시 노부스케, 실물경제를 담당하다 113
3
예산, 내 손 안에 있소이다
∙ 경제개발에는 돈이 필요했다 121
∙ 차관에 의한 자금조달 역시 벽에 부딪치다 126
∙ 미국 자금 도입 무산되다 131
∙ 만업-만주중공업개발주식회사 136
∙ 기술관료의 등장 140
∙ ‘전력국가관리법’ 145
∙ 정치상의 진보 요구 150
∙ 좌익관료 155
∙ 예산편성의 천재 가야 오키노리 160
∙ 예산편성을 위한 노력 166
4
일본주식회사 CEO는 관료?
∙ 점령군 사령관 맥아더 173
∙ 관료의 황금시대 179
∙ ‘적화’ 파업을 불허하다 184
∙ 실패로 끝난 후버 개혁 189
∙ 고시의 명칭이 바뀌다 194
∙ 달라진 것과 달라지지 않은 것 199
∙ 관청의 문은 공평하게 열려 있다 205
∙ 일본 경제기적의 공은 누구에게 210
∙ 토지개혁과 농업 집체화 215
∙ 황색(어용) 노동조합 220
5
관료는 철밥통인가?
∙ 경사(우대)경제와 통화팽창 227
∙ 관료들, 경제부흥의 기초를 다지다 232
∙ 허울뿐인 경제 민주화 237
∙ 통산성의 혁신 관료 242
∙ ‘전력사업법’개정의 실례 246
∙ 정치가들의 권토중래 251
∙ 직업관료에 대한 ‘불공평한’ 특혜 257
∙ 직계제 261
∙ 관료들의 이직-아마쿠다리 266
∙ 직업관료의 급여 271
6
봄날은 간다
∙ 공무원의 민간부문으로 이직(아마쿠다리)에 따른 문제 279
∙ 관료시대의 조종을 울린 다나카 가쿠에이 전 일본 총리 284
∙ 족의원 289
∙ 학력 콤플렉스 문제 294
∙ 관료와 국회의원 299
∙ 국회의원의 자질 304
∙ 민주당의 집권 309
∙ 민주당의 개혁정책 314
∙ 동일본 대지진 319
∙ 민주당의 관료타도가 야기한 부작용 325
∙ 서로 다른 선발 과정, 그리고 영원한 투쟁 330
∙ 참고문헌 335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2 |
50대 | 0 |
60대 | 1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1 |
2017년 | 1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