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대한민국에 결혼 못 하는 세대가 나타났다. 도시의 수많은 청춘남녀들이 결혼을 안 하거나 못 하고 있다. 어디까지가 선택이고, 어디서부터가 포기할 수밖에 없는 현실일까? 이 책은 청년들의 결혼 문제를 해결할 열쇠가 정치라고 말한다. 진보세력과 동일한 문제의식이지만, 진보세력과는 사뭇 다른 열쇠를 제안한다. 진보세력의 정책은 상위 20퍼센트 노동자를 위한 정책이라는 것이다.
목차
추천사 / 박원순 [서울시장], 차영란 [민주통합당 청년비례대표 출마자, ‘노량진녀’]
머리말 - 진정 살아볼 만한 세상을 만들기 위하여 / 윤범기
1 청년들의 수다 - 허경영 솔루션을 넘어서
내가 겪은 결혼하기 힘든 세상
서른 살, 월세 때문에 연애도 힘들다
서울과 지방의 결혼 양극화
‘허경영 솔루션’이 현실이 된 역설
결혼하기 좋은 세상이 살기 좋은 세상
다 같이 가난했던 386세대
듀오는 아무나 가나?
다세대 공공임대주택 늘려야
가족 친화적 유연근로시간제 필요
철밥통과 플라스틱 밥통 병존해야
집 마련 같이 하기는 여성들이 주도해야
10~20퍼센트만 대변하는 진보세력 …
2 진보, 집권하면 뭐 할래? - 나꼼수를 넘어서
김근태의 한계, 진보의 과제
장하준과 ‘착한 박정희 모델’
양보하지 않는 한국의 노사
‘나꼼수’를 넘어서
《문재인의 운명》에 없는 것
노무현이 쓰러진 자리에서
민주통합당? 1년이면 훅 간다
공무원만 늘리면 나라 망해
안철수는 시장 사다리의 희망
복지보다 시장의 개혁이 우선 …
3 비정규직이어도 살 만한 세상 - 플라스틱 밥통을 만들자
희망버스의 착각
정리해고 자체를 악으로 여기는 건 문제
한진중공업 하청업체 비정규직 해고는 아무도 주목 안 해
핵심은 대기업, 중소기업 문제
대안은 비정규직도 살 만한 세상
노동의 양과 질에 따른 임금
조직이 의식을 만드는 게 아니라 의식이 조직을 만든다
‘최저임금’ 없는 스웨덴
지금은 격차를 줄여야 할 때
자식에게 고용 세습하는 사회 …
4 시장 사다리 - 생태계와 동물원
한국 사회를 이해하는 키워드, ‘사다리’
개천에서 용 난 대한민국의 신화
격렬한 노동운동과 중국 효과
한국경제의 최고 포식자, 은행
인재들이 ‘공(公)’자, ‘사(士)’자 좇으면 나라 망해
‘신자유주의’라는 허수아비 때리기
시장 사다리 복원을 위한 금융개혁
하는 일에 비해 연봉만 높은 한국의 금융권
잘못된 정치와 자살률, 출산율
한진중공업의 교훈 “중소기업 가지마”
청년들에게 가혹한 창업 제안
FTA, 다시 보자 …
5 교육시험 사다리 - 해법은 ‘이기정 솔루션’
교육과 사회의 미스매칭
반값등록금은 문제의 본질 아냐
고교입시는 없앨 수 있어
인성교육, 입시교육 다 무능한 학교
교과가 아닌 행정부서로 출근하는 교사들
내신제도의 딜레마
성적 안 볼수록 부자가 유리
입학사정관의 역할은 성적의 해석
교사 1인당 교실 하나씩!
학급당 학생 수 절반 줄이기
사무행정 인턴 4만 명 채용
‘이기정 솔루션’ 실현할 교육부 장관은? …
6 정치생태계와 선거 사다리 - 정치에 투자하세요
결국 고양이 목에 방울 거는 건 정치
국회의원은 지역대표가 아니다
김근태, 임종석이 쉽게(?) 국회의원 된 이유
현역의원 재선율이 높은 미국
정치로 먹고 살 수 있는 정치생태계가 필요하다
독재의 군홧발 대신 자본의 군홧발?
진보, 김근태와 노무현을 넘어서야
정책연구소가 부족하다
약한 정치를 즐기는 언론
김대중, 노무현을 만든 건 좋은 질문 …
7 진보집권을 위한 ‘킹핀’ 정책들 - 5번 핀을 찾아라
킹핀, 정책의 중심 고리
기업은 고용 확대, 국가는 고용보험 강화, 노동은 연대임금제
정책의 마지막은 인간의 문제
은행 설립 자율화와 규제 강화 병행
비정규직으로 10년을 살아도 떳떳한 세상
곽노현 사태의 근본 원인
맞춤형 수업 + 절대평가 + 교실 쪼개기 + 교과ㆍ행정 분리 = 이기정 솔루션
사교육비, 등록금보다 중요한 미스매칭
공무원만 먼저 선진국 되어버린 나라
기회가 있어도 인재와 돈이 가지 않는 한국
평생교육을 위한 입시제도 개혁 필요
노조가 강해서가 아니라 정의로워서 복지국가 됐다 …
맺음말- 대담을 마치며 / 김대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