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국예술종합학교 건축과 김봉렬 교수의 미문과 불교 사진의 대가 관조 스님의 미려한 사진이 어우러진 우리 옛절 답사기. 아름다운 건축적 장면들에 숨어 있는 지형적, 교리적, 일상적 의미를 되돌아보며 우리 가람의 참다운 가치를 재조명하는 책이다.
목차
지형과 교리가 빚은 개성들 속에서 / 김봉렬
가람에 담긴 정신을 찾아서 / 관조
Ⅰ. 절로 가는 길
범어사 짧지만 길고 굽었으되 곧은 길
화암사 천연요새의 성 같은 고찰
유가사 자연이 주연, 인공은 조연인 사찰
해인사 깨달음과 미망의 경계에 세운 공간 예술
Ⅱ. 어우러짐: 가람과 자연의 조화
부석사 땅의 리듬에 맞춰오르는 계단식 석단
낙산사 동해바다에 떠 있는 구도의 법당
선운사 여백미 사라진 자리엔 동백꽃만
고운사 두 가람 잇는 다리
내소사 자연과 한 몸을 이룬 절
마곡사 끊김과 이어짐의 절묘한 조화
해인사 변화무쌍한 공간의 멋
Ⅲ. 넉넉함: 원융회통의 건축적 표현
화엄사 절묘한 공간 활용으로 이룬 화합의 정신
금산사 수평과 수직의 어우러짐
대둔사 불교의 포용력 상징하는 가람 속 사당
옥천사 살아 있는 통불교 박물관
문수사 민중의 얼굴을 한 보살
신원사 명성황후 구국혼 깃든 산신당
Ⅳ. 멋스러움: 가람에 담긴 전통 건축의 아름다움
은해사 자신감 넘치는 뼈대의 아름다움
수덕사 섬세한 공예미 갖춘 고려 건물의 정수
청룡사 휘어진 기둥에 담긴 중용과 역동의 미학
흥국사 궁궐 대접받은 왕실 원찰
Ⅴ. 성스러움: 아름다운 것은 성스럽다
법흥사 온 산이 다 부처님의 몸
통도사 새것 만들되 옛 질서 따르는 정신
한계사터 옛 절터에서 만나는 ‘처음 정신’
개암사 용과 봉황으로 가득한 정토
Ⅵ. 소박함: 가람과 절제의 미학
봉정사 소나무 그늘에 담긴 거대한 의미
화엄사 모과나무로 구현한 자연주의
선암사 고결한 삶을 보듬는 건축적 지혜
정수사 작은 것이 아름답다
사찰 건축 -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조선시대 불교 건축의 구성 - 그 통불교적 교리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