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비유의 이해와 연구 동향
제1장 비유의 성격과 기능
1. 들머리
2. 비유의 성격
3. 비유의 기능
4. 마무리
제2장 국외 은유 연구사
1. 들머리
2. 개념적 은유 이론의 태동
3. 개념적 은유 이론의 정교화
4. 개념적 은유 이론의 적용
5. 개념적 은유 이론의 한계
6. 마무리
제3장 환유의 인지언어학적 연구 동향
1. 들머리
2. 환유와 은유의 비교
3. 환유의 표준 접근법
4. 환유의 대안적 접근법
5. 마무리
제4장 일본 은유 연구의 현황과 사례
1. 들머리
2. 은유의 자리매김
3. 은유의 특성
4. 은유 연구의 흐름과 방법
5. 은유 연구의 사례
6. 마무리
제2부 비유의 언어 문화적 다양성 탐색
제5장 ‘시간’의 생명화
1. 들머리
2. 시간의 생명화 양상
3. 마무리
제6장 신체어와 환유
1. 들머리
2. 신체어 연구의 의의
3. 환유의 역할
4. 신체어의 환유
5. 환유와 은유의 관계
6. 마무리
제7장 신어의 은유적 의미 구성 양상
1. 들머리
2. 신어의 구성 방식
3. 개념적 은유를 통한 신어의 의미 구성
4. 마무리
제8장 길조금기담의 신체어 비유
1. 들머리
2. 길조금기담과 관용어
3. 길조금기담의 신체어 비유 양상
4. 마무리
제9장 개념적 혼성 이론을 통한 기사문 분석
1. 들머리
2. 개념적 혼성 이론
3. 기사문에 나타난 논쟁 분석
4. 마무리
제10장 은유의 문화 내 보편성과 다양성
1. 들머리
2. 은유와 경제
3. 은유의 보편성과 다양성의 사례
4. 마무리
제3부 비유의 대조언어학적 탐색
제11장 한·중 수화의 비유
1. 들머리
2. 인지언어학과 수화
3. 한·중 수화의 비유 양상
4. 마무리
제12장 신체어에 기반한 한·중 분류사
1. 들머리
2. 분류사와 비유
3. 신체어에 기반한 한·중 분류사의 생성 양상
4. 한·중 분류사 생성 양상의 대조 분석
5. 마무리
제13장 한·중 친족어의 의미 확장
1. 들머리
2. 친족어의 의미 특성
3. 한·중 친족어의 비유적 양상
4. 의미 확장의 해석
5. 마무리
제14장 한·중 감각 표현에 나타난 개념적 은유
1. 들머리
2. 개념적 은유 이론
3. 한국어 ‘마음’과 중국어 ‘心’의 대조 분석
4. 마무리
제4부 비유의 교육적 탐색
제15장 과학 교과서의 ‘에너지’ 개념화 양상
1. 들머리
2. 과학과 비유
3. 교과서에 나타난 ‘에너지’의 개념
4. 마무리
제16장 은유 분석을 통한 국어교육의 의의
1. 들머리
2. 이론적 바탕
3. 은유 분석: ‘국어는 □이다’
4. 은유 분석의 결과
5. 마무리
제17장 비유적 사고를 활용한 쓰기 지도 방안
1. 들머리
2. 내용 생성 방안
3. 쓰기 지도의 실제
4. 마무리
부록: 비유 연구 문헌 목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