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1 서론
1.1. 연구 목적과 필요성
1.2. 연구 내용과 범위
1.3. 연구 방법
1.4. 선행 연구
2 열린 읽기의 기본 원리
2.1. 읽기의 특성
2.2. 읽기의 유형
2.3. 열린 읽기의 이론적 배경
2.4. 열린 읽기의 가치
2.5. 열린 읽기의 사례 분석
3 교육 요구도 조사 분석
3.1. 1차 연도 요구도 분석
3.2. 2차 연도 요구도 분석
4 읽기 자료의 선정과 등급 구분
4.1. 자료 선정의 기준
4.2. 학습자 요구 분석
4.2.1. 교육적 활용과 관련된 요구 조사
4.2.2. 읽기 자료와 관련된 요구 조사
4.2.3. 요구 조사 결과의 시사점
4.3. 자료의 선정
4.3.1. 자료 선정의 요인
4.3.2. 자료 선정의 절차
4.3.3. 자료 선정 결과
4.4. 자료의 등급 구분
4.4.1 등급 구분의 기준
4.4.2. 등급 구분의 절차
4.4.3. 등급 구분의 결과
4.5. 자료의 활용과 과제
4.5.1. 자료의 활용
4.5.2. 자료 선정과 등급 구분의 과제
5 읽기 자료의 실제성과 단순화
5.1. 기본 개념
5.2. 텍스트의 실제성
5.2.1. 실제적 텍스트의 특징
5.2.2. 실제적 텍스트의 문제
5.3. 텍스트의 수정
5.4. 텍스트의 단순화
5.4.1 단순한 텍스트와 단순화된 텍스트
5.4.2 단순화의 절차와 문제
5.5. 실제성과 단순화의 조화
5.6. 전망과 과제
6 열린 읽기 프로그램의 조직과 운영
6.1. 활동의 단계별 조직
6.2. 읽기 활동과 모니터 방법
6.2.1. 학습자의 읽기 활동
6.2.2. 교사의 모니터 방법
6.3. 평가 방법의 구안
6.3.1. 시험을 통한 평가
6.3.2. 쓰기와 말하기를 활용한 평가
6.3.3. 설문을 통한 평가
7 열린 읽기 프로그램의 적용과 결과 분석
7.1. 1차 적용 및 결과
7.1.1. 연구 내용과 방법
7.1.2. 연구 결과와 해석
7.2. 2차 적용 및 결과
7.2.1. 연구 내용과 방법
7.2.2. 연구 결과와 해석
7.3. 프로그램의 수정 및 보완
7.3.1. 1차 프로그램의 수정과 보완
7.3.2. 2차 프로그램의 수정과 보완
7.3.3. 수정된 프로그램의 제안
8 결론
8.1. 요약 및 정리
8.2. 기대 효과 및 과제
■ 참고문헌
■ 부록
<부록1> 열린 읽기를 위한 등급별 읽기 자료 목록
<부록2> 독서 일지 양식
<부록3> 사전 설문지(2010년 2학기)
<부록4> 사후 설문지(2010년 2학기)
<부록5> 사전 설문지(2011년 1학기)
<부록6> 사후 설문지(2011년 1학기)
<부록7> 읽기 자료 안내서(일부 제시)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