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1970년대 이후 도시 관리와 환경의 공생을 위한 몇 가지 움직임이 펼쳐진다. 환경개선을 위한 도시정책이 전개되고, 개발제한구역을 설치 운영하여 도시의 환경성을 제고하며, 시민환경단체를 중심으로 활발한 도시개선운동이 전개되고 있다.
목차
제1부 도시와 환경의 함의 제1장 도시 관리와 환경 제1절 환경과 도시 관리의 관계 변화 제2절 환경개선을 위한 전 지구적 움직임 제3절 한국이 도시 관리와 환경개선 노력 제4절 환경과 함께 하는 도시 관리 제2장 도시계획과 사회 환경 제1절 서론 제2절 도시계획이 사회학 제3절 근대 도시계획의 전개 제4절 도시와 장소기억 제5절 도시와 사회자본 제6절 도시계획의 새로운 출발 제3장 도시와 환경 재해 제1절 도시 환경 재해의 성격 제2절 도시 환경 재해의 종류 제3절 도시 환경 재해 저감 방안 제4절 환경 재해와 도시의 지속가능성 제4장 기후변화와 도시환경 제1절 기후변화 현상과 자연재해 제2절 기후변화와 도시환경과의 관계 제3절 도시와 기후변화 대응
제2부 도시환경과 관련제도 제5장 도시환경과 환경법 제1절 머리말 제2절 도시환경문제의 특성 제3절 도시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법과 제도 제4절 도시환경법의 과제: 지속가능한 스마트 생태도시의 환경법적 실천 제6장 한국의 도시환경정책 제1절 도시환경의 특성 제2절 도시환경정책의 이념과 과제 제3절 도시환경정책의 수단 제4절 분야별 실천 방안 제5절 미래 녹색공동체를 향하여 제7장 그린벨트와 도시환경 제1절 그린벨트의 함의 제2절 우리나라의 개발제한구역 제3절 개발제한구역 환경평가 제4절 환경평가 내용의 변화 제8장 도시 그린인프라와 경제성 분석 제1절 도시 그린인프라 경제성 분석의 의의 제2절 경제성 분석 체계의 이해 제3절 경제성 분석 방법론 제4절 도시 그린인프라 경제성 분석 제5절 맺는 말
제3부 도시환경과 도시계획 제9장 스마트 도시와 스마트 도시환경 제1절 스마트 도시의 개념과 특징 제2절 스마트 도시의 세계적 동향과 국내·외 사례 제3절 스마트 도시환경의 구조와 실천 제4절 융합적 스마트 도시환경모델의 정립 제5절 스마트 도시의 향후 과제 제10장 도시환경과 녹색교통 제1절 녹색교통의 등장 배경 및 관련 이론 제2절 녹색교통의 국내·외 대표 사례 제3절 첨단 융복합 기술을 활용한 녹색스마트교통 경쟁력 강화 방안 제4절 녹색교통의 미래 제11장 저탄소 도시와 건축 제1절 저탄소 도시·건축의 개념 및 이론 전개 제2절 저탄소 도시계획의 요소 제3절 저탄소 도시·건축 실현과 건축물군 관리의 중요성 제4절 저탄소 도시계획 사례 제5절 저탄소 도시·건축 실현을 위해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 제12장 공공디자인과 도시환경 제1절 공공디자인과 도시환경 제2절 도시환경을 위한 공공디자인의 이해 제3절 도시환경에서의 공공디자인 활용 제4절 도시환경과 공공디자인의 미래
제4부 도시환경의 부문연구 제13장 도시환경과 건강도시 제1절 서언 제2절 건강과 환경 제3절 건강도시의 계획지표와 요소 제4절 도시환경개선과 건강도시계획 제5절 건강도시사업 제6절 결어 제14장 사회주의 도시와 환경 제1절 자본주의와 환경 위기 제2절 자본주의 도시화의 모순 제3절 ‘역사적 사회주의’와 도시 및 환경 문제 제4절 환경 및 도시 문제에 대한 사회주의 대안 제15장 도시 토양오염과 환경갈등 제1절 도시 토양오염의 역사 제2절 우리나라의 도시 토양오염 실태 제3절 도시 토양오염에 따른 환경갈등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