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프로이트 이론과 융 분석심리학 이론, 그리고 현대 정신분석 이론을 종합해서 한중일 신화뿐 아니라 전세계 민족 신화를 해석한 국내 첫 저서이다. 특히 한중일 신화에 반영된 무의식의 유형들을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분석, 정리한 것은 저자의 독창적인 시도로 평가된다.
목차
서문
1부 신화 해석을 위한 기본 조건
1장 신화 해석을 위한 정신분석의 기초
1. 신화에 대한 정신분석학의 연구 동향
2. 신화에 반영된 무의식의 유형들
3. 신화적 사고
4. 영웅신화 해석의 초점과 기본 틀 : 정신 발달의 중요 요소들
5. 마무리하며
2부 신화에 대한 정신분석
1장 한국 신화
1. 창세신화 : 한국인의 시원
2. 환인, 환웅, 웅녀, 단군 : 한국민족의 최초 이상화 대상들
3. 주몽 : 마마보이가 건국 영웅되다
4. 바리데기 : 버림받은 영혼이 치유자로 변환되는 과정
2장 중국 신화
1. 창세신 : 거인 반고
2. 예 : 반복되는 불행의 원인과 의미
3. 어진 왕 순 : 거짓자기가 참자기로 변하기 위한 조건
3장 일본 신화
1. 창세신 이자나기와 이자나미 : 성교, 창조, 죽음, 다툼, 분리, 단독 창조
2. ‘폭풍의 신’ 스사노오 : 반사회적 성격의 치유 과정
3. 오쿠니누시 : 힘없는 겁쟁이가 국가의 주인으로 성장하는 과정
4장 수메르 신화
1. 길가메시 : 오만한 자가 현자로 변하는 과정
5장 이집트 신화
1. 오시리스, 이시스, 호루스 : 죽음에서 부활에 이르는 길
6장 그리스 신화
1. 그리스의 창세신화 : 왕 살해의 전형
2. 오이디푸스 : 운명을 벗어나려는 투쟁
3. 페르세우스 : 어머니의 마력에서 벗어나 주체가 되기 위한 조건
4. 테세우스 : 미궁에 들어가 괴물과 싸우기
5. 헤라클레스 : 모성 박탈이 심한 자의 운명
6. 에로스와 프시케 : 사랑과 영혼이 조화되기 위한 조건
7. 나르키소스와 에코
7장 북유럽 신화
1. 발데르 : 빛의 신이 죽어야 하는 이유
3부 신화에 반영된 민족무의식 비교
1장 신화에 반영된 민족무의식 비교
1. 창세신화 : 민족 간 최초 정신성 비교
2. 영웅신화 : 민족 간 콤플렉스 유형 비교
맺는말
미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