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 부두연극단 창립기(1984~1985)
1.1. 부두연극단의 창립과 창단 공연
1.2. 부두소극장의 위치와 특징
1.3. 부두연극단의 초창기 단원과 그 이력
1.4. 창립기 공연 작품의 목록과 공연 미학적 특성
1.5. 연출가 이성규의 연극적 지향과 극단 운영 방법
2. 가마골소극장 공동 운영기(1986~1987)
2.1. 공동 운영의 계기와 공동 공연 연보
2.2. 공연 작품 목록과 공연 작품의 면모
2.3. 가마골소극장의 협동 공연 방식
2.4. 연희단거리패와 마지막 협업과 결별
3. 부두연극단의 자립기(1987~1992)
3.1. 1987년 이성규의 위상과 활동 내용
3.2. <달라진 저승>의 구조적 특성과 무대 미학
3.3. 이성규의 활동 재개와 이어지는 세대교체
3.4. <금지된 장난>과 ‘금지된 연극’에 대한 도전
3.5. 연출가 정순지의 활동과 특징
3.6. 부두연극단 자립기의 극단원과 그 면모
4. 연당소극장 활동기(1994~2004)
4.1. 연당소극장의 창립과 그 의미
4.2. 출발작 <고도를 기다리며>와 부조리극 계열의 작품들
4.3. 사랑과 성에 관한 탐구
4.4. 1997년 부산 연극의 전환점
4.5. 부산연극협회장과 부두연극단의 연출가 겸업
4.6. <연극 같은 내 인생>과 연극을 바라보는 시각
4.7. 연당소극장의 망실과 <오장군의 발톱>
4.8. <잘 자요 엄마>의 선택과 연극적 매력
4.9. <토막>의 재구성과 현대적 해석
4.10 <청혼소동> 공연과 희극에 대한 도전
5. 액터스소극장 정착기(2005~2014)
5.1. 액터스소극장의 설립과 남천동 연극 시절
5.2. 전위극에 대한 관심과 연출가로서의 의식
5.3. 리바이벌되는 작품들의 특징과 연출 미학
5.4. 새로운 작품 선택과 그 미학적 기준 해명
6. 부두연극단의 공연 시기 별 공연미학
7. 연출가 이성규의 연출 방식과 연극관
7.1. 인생의 방향을 바꾼 ‘연극’
7.2. 사실주의극과의 인연과 저항
7.3. 부조리극에 대한 열정과 해석
7.4. 연출가로서의 중요한 이력들: 희극의 맥락들
7.5. 마임과 신체 연기
7.6. 흥행극에 대한 설명과 극장 운영
7.7. 그로테스크이 미학, 이단적인 연극 미학
8. 새로운 10년을 준비하는 부두연극단의 자세
9. 부두연극단의 지역연극사적 의의
10. 부두연극단 공연 연보
11. 부두연극단 공연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