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법의학, 진실을 부검하다 : 40년 관록 법의학자가 말하는 법의학 현장의 진실
발행연도 - 2015 / 지음: 오시다 시게미 ; 옮김: 김혜민 / 바다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1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348973
-
ISBN
9788955617597
-
형태
230 p. 23 cm
-
한국십진분류
기술과학
>
의학
>
건강증진, 공중보건 및 예방의학
-
카테고리분류
의학/건강
>
의학
>
법의학
책소개
일본의 저명한 법의학자 오시다 시게미는 ‘법의학자가 해야 할 일과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고민을 계속해왔다. 이 책에서 그는 40여 년 동안 법의학자로서 겪은 수많은 사건사고 중 유의미한 것들을 골라 풀어내며 그 질문에 답한다.
목차
머리말- 현장의 법의학을 고민하다
제1장. 살인사건의 진상을 해부하다
완전범죄는 없다
고액의 생명보험에 가입한 남편
투구꽃과 복어 그리고 생쥐
독으로 독을 제압하다
또 하나의 투구꽃 살인사건
사형대에서 살아 돌아오다
뜻밖의 인연
사형 판결을 뒤집다
일기일회의 도움
손상이 밝혀낸 사건의 진상
처참한 현장 사진
상처와 손상
사진이 한 장도 없는 놀라운 부검감정서
이대로 재판을 해도 괜찮은가
없다던 부검 사진이 나타나다
엉망진창인 감정서의 부검 그림
문헌을 잘못 인용한 검사
법의학자도 과학자다
피의자의 상태로는 불가능한 범죄
재심이 열리다
화장실 실험이 무죄와 무기징역을 가르다
낮에는 엘리트 사원, 밤에는……
무죄에서 무기징역으로
한 사람의 인생을 건 실험
결과는 달라지지 않았다
무기징역에서 다시 무죄로
증거를 날조한 수사기관
약 반세기 전에 일어난 사건
이 칼로는 피해자가 입은 손상을 낼 수 없다
모순이 너무 많은 법원의 판단
재심개시 결정이 내려지기까지의 여정
인권을 지키는 길, 법의부검과 재감정
늘어난 사망자 수
진정 풍요로운 나라가 되려면
부검하지 않으면 진상은 규명되지 않는다
죽은 자에게도 입이 있다
제2장. DNA형 검사를 진단하다
19년 만에 무죄를 증명하다
DNA형 검사로 무기징역을 선고받은 남자
머리카락을 다시 감정하다
진범이 아닌 사람을 체포했단 말인가
이해할 수 없는 판결
언론의 주목을 받다
19년 만에 밝혀진 진실
잘못된 감정 결과가 만들어낸 억울한 사형
자백은 없었다
의문투성이 감정 결과
사형집행 후 이루어진 재심청구
수준 미달 법의학자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사건 발생과 무기징역
피고인의 DNA형도 정정하다
법의학자의 과학적 양심
이 심장은 누구의 것인가
경찰의 판단 실수
부검한 적 없는 남편의 심장이 보존되어 있다?
감정할 수 없는 이상한 표본
법정은 진상을 규명하지 않는다
죽은 자를 증명하는 방법, DNA형 검사
DNA형 검사의 탄생
DNA형 검사의 발전
죽은 자를 증명하는 방법
과학이 발전할수록 과학자는 양심을 지켜야 한다
제3장. 대재난 현장을 증언하다
여객기와 전투기가 충돌하다
조각조각이 난 시신
시신이 바뀌다
산 속에 추락한 비행기
일본항공 추락사고 발생
사망 순서에 따라 상속이 결정된다
사고 현장에서 중요한 세 가지
520명의 시신 중 518명의 신원을 밝히다
체력의 한계에 도전하는 가혹한 노동
시민들의 도움으로
피해자의 인생 드라마
사고 후 출판된 책의 진실과 오해
경찰로부터 돌아오지 않는 비디오 기록
항공기 음주운전이 사고를 일으키다
만반의 준비 가운데 일어난 사고
최고 책임자가 없다?
누구의 어머니인가
치아 진료기록도 믿을 수 없다
대지진 현장의 법의학자
7명에서 6,000명으로 불어난 사망자 수
사고 현장으로 향하다
조폭과 폭주족의 활약
상상을 초월하는 참상
살아 있는 사람의 장례를 치르다
이것은 인간의 뼈인가, 동물의 뼈인가
대지진의 예측과 현실
지진이라는 지옥도
대도시에서 지진이 일어난 다면
사망자 수와 피해액은 비례하지 않는다
여행 전의 마음가짐
제4장. 의료사고 현장을 감정하다
의료사고는 왜 일어나는가
의료 현장을 경험하다
의료사고를 평생 연구하기로 다짐하다
주사를 놓는 부위가 잘못되어 있었다
독일 논문을 일본인에게 적용한 잘못
아내의 조언으로 알게 된 주사 후유증
근육을 파괴한 주사액
연구를 계속하다
‘내일을 향한 기록’
재앙을 부른 4가지 원인
왜 일본에만 환자가 많은 것일까
주사가 많았던 일본의 의료
그때그때 할 수 있는 일을 하자
의료사고와 재판의 현실
의료, 위험을 동반하는 전문적 행위
의료분쟁이 일어나면
무거워진 행정 처분
사례1 : 과실과 사망의 인과관계를 밝혀야 유죄
사례2 : 과실의 원인은 어디에 있는가
사례3 : 의료사고의 사회적 파장
형사재판과 윤리
사고 현장이 아닌 치료 현장으로서의 병원을 위하여
의료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
의료사고 예방 비디오를 제작하다
생각지도 못한 주목을 받다
양질의 것을 남기자
맺음말- 실제 일어난 사회의 구체적인 문제를 감정하다
옮긴이의 말- 인간의 마지막을 해석하는 학문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5 |
20대 | 1 |
30대 | 2 |
40대 | 3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2 |
2017년 | 2 |
2018년 | 2 |
2019년 | 3 |
2020년 | 1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1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