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감사의 글
1장 드라마로서의 뮤지컬
2장 뮤지컬 붐
(1) 우리나라의 뮤지컬 붐
(2) 외국의 뮤지컬 붐
(3) 메가뮤지컬
3장 매체의 물질성
(1) 예술은 진보하는 것인가
(2) 매체와 형식
(3) 매체의 물질성
1) 미디어는 메시지다
2) 주도매체
3) 주도 장르는 다른 장르의 원형이 된다
(4) 매체의 생산능력
(5) 매체의 한계
(6) 매체는 상보적이고 축적적이다
(7) 매체와 공연의 장르
1) 생명체로서의 장르
2) 장르의 순환과 변화
4장 매체순수성
(1) 매체순수성
(2) 매체순수성 비판
(3) 매체순수성 옹호론-예술의 전문화
(4) 매체와 전문화
(5) 예술의 위계
5장 매체의 변화와 뮤지컬의 탄생
(1) 연극중심주의의 퇴조와 매체의 변화
1) 연극중심주의의 퇴조
2) 매체순수성에서 상호매체성으로
(2) 재연극화
1) 매체가 자연주의에 미친 영향
2) 음악극의 부활
3) 재연극화
4) 재매개, 재연극화, 상호매체성
(3) 뮤지컬의 탄생
1) 문화와 혼종성
2) 뮤지컬의 혼종적 기원- 뮤지컬의 통시적 상호매체성
3) 뮤지컬의 혼종성
6장 감각적 장르로서의 뮤지컬
(1) 이성의 시대에서 감성의 시대로
(2) 매체와 감각
(3) 공연의 직접성
(4) 역동성
(5) 뮤지컬은 끊임없이 감각을 자극한다
(6) 당대적 공연
7장 뮤지컬과 상호매체성
(1) 상호매체성
1) 상호매체성의 개념
2) 뮤지컬의 다매체성
3) 뮤지컬의 구성요소
4) 매체의 자립과 고립
5) 통합인가 차이인가?
(2) 매체의 결합
1) 삼위일체
2) 음악과 무용
3) 음악과 대사
4) 테크놀로지
(3) 동일매체성
1) 동일매체성이란
2) 반복
3) 변주
4) 대조
5) 앙상블
(4) 상호매체성의 효과
1) 왜 매체를 혼합하는가?
2) 감각의 결합과 오락성의 강화
3) 매체의 결합과 전문성
4) 상호매체성의 화용론적 성격
(5) 매체의 한계 뛰어넘기
1) 리얼리티
2) 불신의 유보
3) 작가와 관객의 공모
맺는 말
(1) 뮤지컬은 어떤 퍼포먼스인가?
1) 뮤지컬은 어떤 퍼포먼스인가?
2) 뮤지컬의 한계와 과제
(2) 뮤지컬은 산업화가 가능한가?
1) 뮤지컬 기업들
2) 우리나라에서 뮤지컬의 산업화는 가능한가?
(3) 뮤지컬화와 문화다양성
1) 뮤지컬화 현상
2) 취향의 조작
3) 문화 다양성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