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1 내 DNA를 가지고 농구 하는 과학자들
들어가는 말 2 유전학에 관해 알아야 할 것들
1 프로메테우스 : 더글러스 멜튼
멜튼 박사가 줄기세포를 연구하는 것은 이제 열네 살, 열여덟 살이 된 자신의 아이들 샘과 엠마 때문이다. 두 아이 모두 제1형 당뇨병 때문에 고생하고 있다. 당뇨병에 걸리면 인슐린을 분비하는 이자의 랑게르한스 섬 세포의 기능이 마비되어 인슐린을 생산하지 못한다. 멜튼 박사는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해 줄기세포로 랑게르한스 섬 세포를 생산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싶어 한다.
2 이브 : 신시아 케년
여러 연구 결과는 예쁜꼬마선충이나 쥐를 비롯한 모든 유기체의 수명이 정해져 있다는 오래된 가설이 틀렸다고 하는 그의 주장을 뒷받침해준다. 케년 박사는 생명체의 수명을 아이포드의 소리 조절 스위치처럼 진화 과정을 통해 유전자를 활성화시키거나 억제시키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쉽게 바꿀 수 있다고 믿고 있다. 노벨상 위원회는 케년 박사가 고등 포유류에게서도 그와 비슷한 실험 결과를 이끌어낼 경우 노벨상 수상도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3 바울 : 프랜시스 콜린스
콜린스 박사는 한편으로는 게놈학이라는 신학문을 열었으며 한편으로는 국립 보건원의 게놈 연구를 이끌었다. 그의 뛰어난 조직력과 다른 사람을 감화시키는 능력, 자신이 구축한 유전학 분야에 도전하는 사람에게 맞서 싸우는 열정은 신앙을 전파하기 위해 맹렬히 투쟁했던, 기독교에서는 바울이라고 부르고 유대교에서는 사울이라고 부르는 사도와 닮아 있다.
4 파우스트 : 크레이그 벤터
벤터 박사를 파우스트에 비유한다면, 아마도 건방진 우스갯소리를 구사하는 파우스트라고 해야 할 듯하다. 그는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일이라면 훗날 지옥에 떨어진다 하더라도 그 순간만큼은 자신의 전 재산을 다 쏟아 부어 동료들과 함께 나아가는 길을 택하고 있는 듯이 보인다. 사람들에게 이로움을 주는 탐욕과 야망이라면 악마적인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박사는 말한다.
5 제우스 : 제임스 왓슨
이중나선 구조가 신이 없다는 증거라는 왓슨 박사의 주장은 과연 옳은 것일까? 과학자이자 무신론자인 왓슨 박사는 죽음을 앞둔 노인들이 대부분 신의 존재를 강하게 믿는 것과는 정반대로 생명이란 우주 과학이 만들어낸 산물이라는 자신의 주장에 거의 종교적인 신념에 가까운 집착을 보이고 있다. 그는 영혼도, 정신도, 위대한 창조자도, 천사도 없다고 주장한다.
6 퍽 : 시드니 브레너
그에겐 제임스 왓슨 박사처럼 세상을 정복하고 싶다는 욕망도 없었고, 크릭 박사처럼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싶다는 열망도 없었다. 그저 토론하고 새로운 생각을 이끌어내는 과정을 좋아할 뿐이었다. 크릭 박사와 자코브 박사가 파리에서 목격했던, 두 눈을 빛내며 새로운 생각이 떠올랐다고 좋아하면서 소리치던 모습이 그의 본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7 모세 : 폴 버그
버그 박사는 시나이 산으로 들어가 실험에 쓸 인공 동물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새로운 규칙을 만들어 왔다. 저명한 과학자들의 위험도 그의 결심을 바꾸지 못했다. 오히려 그 때문에 더욱 자극받은 버그 박사는 분자생물학 분야에서 더욱 활발하게 메시아적인 사명을 수행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배아 줄기세포 연구를 둘러싼 논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나오는 말 아인슈타인의 두뇌를 지닌 프랑켄슈타인이 탄생한다면?
감사의 말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