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역사문제연구소가 기획하고 학계 각 분야의 권위자 17명이 집필한 한국사 교양서로, '전문가들이 쓴 가장 믿을 만한 한국사', '건강한 역사관을 가진 균형 잡힌 한국사', '세계와 소통하는 한국사', '스토리와 비주얼로 읽는 입체적인 한국사'를 표방한다. 2권에는 후삼국의 분열을 극복하고 통일 왕국으로 우뚝 선 고려의 역사를 담았다.
목차
추천사
발간사
서문
1 새 나라 고려, 기틀을 다지다 900·1022
01 분열에서 다시 통일로 : 호족의 시대와 후삼국 통일
새 나라를 건설한 용의 후손 : 고려 왕실의 '용손 의식'
02 왕실의 위엄을 드러내다 : 왕위 계승전과 의례의 정비
축제의 정치학이 담긴 팔관회 : 의례의 미학을 담다
03 새 나라의 기틀을 다지다 : 국왕의 통치와 자율의 확립
현종의 피란길을 따라 지방으로! : 고려의 지방 사회와 교통로
04 동아시아의 균형추, 고려 : 거란 전쟁
우리는 고구려를 계승했다 : 서희의 외교력과 강동 6주
2 귀족의 시대 1023·1169
01 관료와 문벌 귀족의 길 : 과거와 교육, 그리고 문벌
고려 귀족 사회를 읽는 키워드 : 좌주와 문생
02 고려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 고려의 신분과 가족
고려 여성들은 어떻게 사랑했을까? : 여성의 결혼과 삶
03 고려 사람들의 경제 : 전시과 제도와 산업의 발달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지며 :「공방전」과 의천
04 신앙의 힘 : 고려 사람들의 종교 생활
누가 병을 치료할 것인가? : 승려와 의학
05 고려 문화의 융성 : 고려청자와 인쇄술의 발달
도자기를 따라 세계와 만나다 : 도자기 길
3 무신의 시대 1103·1237
01 동아시아의 새로운 국제 질서 : 여진과의 전쟁
거란의 길잡이가 되다 : 고려의 집시 '양수척'
02 문벌 귀족 사회의 위기 :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나라와 개인의 운명이 달렸다 : 풍수지리와 십팔자참설
03 보현원의 저녁은 새 역사의 시작 : 무신 정권 시대
불법과 합법 사이 : 악소배와 악당
04 농민과 천민의 봉기 : 고려 사람들의 종교 생활
노비로 살기 싫다! : 노비 평량의 신분 상승
4 전쟁의 시대 1231·1273
01 세계 제국에 맞서다 : 몽골과의 전쟁
고려대장경은 어떻게 만들었을까? : 신앙의 힘, 대장경 조판
02 쿠빌라이와의 만남 : 강화 천도와 평화의 길
가미카제를 맞이하다 : 여몽 연합군의 일본 원정
5 원 제국과 고려 1260·1355
01 사위의 나라가 되다 : 부마국과 원의 간섭
충혜왕, 장사를 하다 : 원 간섭기의 고려 왕
02 세계 제국과 만나다 : 원과의 교류와 삶
원에 갈 여성을 모집하라! : 결혼도감과 공녀
03 사상의 혁신 운동 : 새로운 불교와 성리학
여행길인가, 고생길인가? : 이색과 이제현의 중국 여행
6 왕조의 갈림길 1356·1392
01 개혁의 시작과 혼돈 : 고려 왕조의 위기
군벌이 성장하다 : 고려군의 중국 원정
02 새 나라 건설의 길 : 공민왕과 신진 사대부
정몽주는 어떻게 죽었을까? : 선죽교의 진실
연표
찾아보기
이미지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