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유네스코가 지정하는 유산에는 세계유산, 세계기록유산, 세계무형유산 등 3가지가 있는데 세계기록유산은, 1997년부터 인류의 문화를 계승하는 중요한 유산인데도 훼손되거나 영원히 사라질 위험에 처해 있는 기록유산을 보존하고 이용하기 위하여 지정하는 유산이다.
목차
머리말
[총론] 세계기록유산 개요
세계기록유산이란
세계기록유산 관련 조직
세계기록유산의 등재
제1장 훈민정음(訓民正音)
우리글 훈민정음과 문헌 『훈민정음』
해례본의 집필과 집현전 이야기
해례본의 발굴에 얽힌 이야기
해례본과 한글 이야기
제2장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조선왕조실록』의 가치
『조선왕조실록』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다른 왕조에도 실록이 있을까
제3장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
『직지심체요절』의 슬픈 역사와 등재의 영광
『직지심체요절』 간행 배경과 판본 형태
『직지심체요절』은 참선교육의 지침서
『직지심체요절』의 가치
『직지심체요절』보다 오래된 금속활자의 발견
제4장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승정원일기』는 무엇인가
『승정원일기』는 누가 기록했을까
『승정원일기』의 작성 절차
『승정원일기』의 관리와 활용
『승정원일기』의 개수와 개작
『승정원일기』의 가치
제5장 조선왕조의궤(朝鮮王朝儀軌)
조선왕조의궤의 의미와 가치
의궤의 제작과 관리
의궤의 종류와 내용
어람용 의궤의 반환
제6장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이란
대장경의 역사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
속장경(續藏經)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의 구성과 내용
팔만대장경 이운(移運)-강화도에서 해인사까지
대장경의 판각 과정
해인사 사간판(寺刊板)
팔만대장경의 특성과 가치
제7장 동의보감(東醫寶鑑)
『동의보감』은 어떤 책인가
『동의보감』의 의학사적 가치
『동의보감』의 내용 들어다보기
『동의보감』의 저술 배경과 허준의 생애
유교·도교 사상의 결합
제8장 일성록(日省錄)
『일성록』의 성격
『일성록』이 기록되는 과정
『일성록』의 내용과 체제
『일성록』의 수난 - 소실(燒失)과 도삭(刀削)
제9장 5·18 민주화운동 기록물
세계기록유산으로서의 가치
5·18 민주화운동 기록물의 내용
제10장 난중일기
『난중일기』란 어떤 책인가
『난중일기』의 원본과 이본
『난중일기』의 내용
『난중일기』의 중요성과 가치
제11장 새마을운동 기록물
새마을운동이란
새마을운동의 성과
새마을운동 기록물의 범위와 내용
새마을운동 기록물의 가치
새마을운동 발상지 논란
새마을운동의 세계화
[부록 1] 세계기록유산 목록
[부록 2]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신청서
[부록 3] 세계유산 개요
[부록 4] 세계무형유산 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