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은 두 질문에서 출발했다. 송파 세 모녀는 어떻게 살았을까, 그리고 그들이 기초생활수급 신청을 했더라면 지원받았을까. 당시 정환봉 한겨레 기자는 사건을 취재하러 달려갔었다. 그때 보고 느낀 바에 기대어 사건의 현장을 되살리려 했다.
목차
들어가는 글
1부_ 벼랑 끝에 선 세 모녀
2부_ 죽은 세 모녀의 사회 기초생활수급자의 삶과 일 자살自殺, suicide: 행위자가 자신의 죽음을 초래할 의도를 가지고 생명을 끊는 행위 세 모녀가 수급 신청을 했더라면 과연 지원을 받았을까?: ‘이용할 수 있는 복지를 신청하지 않았다’라는 정부의 입장에 대한 반론 수치심을 대가로 움직이는 복지: 수급자라는 주홍글씨 송파 세 모녀, 그 이후: 기준 안에서 사각지대를 찾겠다는 발상 가난한 이들의 다잉 메시지: 유서로 보는 기초생활수급자의 삶 부양의무자 기준이라는 흉기 1 부양의무자 기준이라는 흉기 2 가짜소득의 함정: 추정소득과 간주부양비 마른 수건처럼 말라비틀어진 뒤에야 작동하는 복지: 가혹한 재산 기준과 소득환산율 가난한 이들의 ‘권리’는 누가 보장해야 하는가 처음에는 무슨 착오가 있으려니 생각했습니다: 수급비 때문에 노동을 포기해야 하는 역설 광화문 농성장을 2년째 지키는 영정들: 천천히 그리고 함께 만들어가는 희망
3부_ 수급가구 청년으로 산다는 것 수급가구 청년 열 명과의 인터뷰
4부_ 기초생활보장제도를 소개합니다 기초생활보장제도에 관한 짧은 소개 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 손질해야 할 곳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정부 개정안이 잘못된 이유
발문을 대신하여: 이 책을 먼저 읽은 분들의 추천의 글
서가브라우징
부동산 상식사전 = Common sense dictionary of real estate2015 / 백영록 지음 / 길벗
노동의 미래와 기본소득 : 21세기 빈곤 없는 사회를 위하여 2019 / 지음: 앤디 스턴, 리 크래비츠 ; 옮김: 박영준 / 갈마바람
일자리의 미래 : 왜 중산층의 직업이 사라지는가 2019 / 지음: 엘렌 러펠 셸 ; 옮김: 김후 / 예문아카이브
비정규 사회 : 불안정한 우리의 삶과 노동을 넘어2015 / 김혜진 지음 / 후마니타스
회사가기 싫은 날 : 좋아하는 것을 직업으로 삼은 17명의 이야기2014 / 김희진 지음 ; 하수영 사진 / MaHo
셰프= Chef: 맛의 세계에서 매일을 보내는 사람2020 / 편집: 레퍼러스 바이 비; 인터뷰: 이정윤, 제이미 양, 정혜선, 손현 / Reference by B:
직업의 종말 : 불확실성의 시대 일의 미래를 준비하라2017 / 테일러 피어슨 지음 ; 방영호 옮김 / 부키
죄송합니다, 죄송합니다, 송파 세 모녀의 죽음이 상처를 남긴 이유2014 / 김윤영, 정환봉 [공]지음 / 북콤마
불평등의 이유2018 / 지음: 노엄 촘스키 ; 옮김: 유강은 / 이데아
마이크로 트렌드 심리학 : 12가지 심리 실험으로 파헤친 소비 속 감춰진 욕망2016 / 강한나 ; 김보름 지음 / 미래의창
미래경제 = New economy2013 / 손성원 지음 ; 황숙혜 옮김 / RHK
2030 대담한 미래. 2, 미래의 기회와 전략적 승부2014 / 최윤식 지음 / 지식노마드
2030 대담한 미래 = Brave new world 20302013 / 최윤식 지음 / 지식노마드
제4의 물결이 온다 : 4차산업혁명, 부의 기회를 잡아라2017 / 최윤식 ; 최현식 지음 / 지식노마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