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리더의 역사읽기는 『군서치요』로 시작해야 한다
서장 『군서치요』란 어떤 책인가?
제1장 천도를 본받고 천인합일을 이룬다(效法天道, 天人合一) ─『군서치요』의 천도天道 사상
제2장 수신을 근본으로 삼고 덕으로 정치를 한다(修身爲本, 爲政以德) ─『군서치요』의 덕치德治 사상
제3장 어진 이는 남을 사랑하고 의로운 이는 도리를 따른다(仁者愛人, 義者循理) ─『군서치요』의 인의仁義 사상
제4장 군주를 평안하게 하고 백성을 잘 다스리는 방법으로 예만큼 좋은 것이 없다(安上治民, 莫善於禮) ─『군서치요』의 예치禮治 사상
제5장 낡은 풍속을 고치는 방법으로 악보다 좋은 것이 없다(移風易俗, 莫善於樂) ─『군서치요』의 악치樂治 사상
제6장 나라를 세우고 백성들의 군주가 됨에 교육과 학문을 우선으로 삼는다(建國君民, 敎學爲先) ─『군서치요』의 교육사상
제7장 현명하고 유능한 이를 임용하며 사악하고 아첨하는 자를 멀리한다(任人唯賢, 去邪遠佞) ─『군서치요』의 용인用人 사상
제8장 덕치를 위주로 하며 법치로 보조한다(德治爲主, 法治爲輔) ─『군서치요』의 치정治政 사상
제9장 백성을 근본으로 삼고 민생을 중시한다(以民爲本, 注重民生) ─『군서치요』의 민본民本 사상
제10장 근본을 중시하고 말단을 경시하며 사치를 버리고 검약을 받든다(重本輕末, 去奢崇儉) ─『군서치요』의 경제사상
제11장 전쟁을 멈추고 문교에 힘쓰며 덕으로 변방의 백성을 보듬는다(偃武修文, 以德懷遠) ─『군서치요』의 군사외교사상
제12장 겸허하게 간언을 받아들이고 충언으로 직간한다(虛心納諫, 忠言直諫) ─『군서치요』의 납간納諫 사상
제13장 공적에 따라 관리를 심사하며 온 정성을 모아 정치에 힘쓴다(考功按績, 勵精圖治) ─『군서치요』의 이치吏治 사상
제14장 정무를 근면하게 수행하며 덕으로 재해를 없앤다(勤修政事, 以德化災) ─『군서치요』의 재난대처사상
제15장 선을 숭상하면 창성하고 악을 좇으면 반드시 대가를 치른다(崇善卽昌, 從惡必報) ─『군서치요』의 인과因果 사상
제16장 평안할 때 위험을 생각하고 처음처럼 끝까지 신중을 기해야 한다(居安思危, 愼終如始) ─『군서치요』의 우환憂患 사상
종장 『군서치요』를 어떻게 학습하고 실천할 것인가?
옮긴이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