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부 박경리 문학의 원질-움직임動과 멈춤靜
제1장 서론
1. 연구사 검토 및 문제 제기
2. 연구의 시각
3. 박경리 문학의 ‘복합적’ 전개 양상
제2장 가치의 무차별화에 따른 인물형상(정체성․죄의식)과 현실비판
1. 가치의 무차별화와 인물 정체성의 문제
2. 가치의 무차별화와 죄의식의 문제
3. 가치의 무차별화 양상과 작가의 현실비판
제3장 가치의 절대화에 따른 인물형상(정체성․죄의식)과 현실로부터 소외
1. 질적 가치의 상실과 현실로부터 소외
2. 가치의 절대화와 인물 정체성의 고정
3. 가치의 절대화에 따른 죄의식과 해소방안 모색
제4장 가치의 상대화에 따른 인물형상(정체성․죄의식)과 현실참여
1. 인물의 ‘굴절’과 정체성의 생성
2. ‘상징적 빚’의 승계와 가치의 상대화를 통한 대속
3. 인물의 삶의 지평 확대와 ‘굴절’의 미학
제5장 결론
제2부 박경리 문학과 토지, 고금(古今)과 동서(東西)의 좌표
제1장 박경리의 토지와 바진[巴金]의 격류삼부곡 비교 고찰-‘가족사 소설’의 관점에서
1. 들어가며
2. 격류삼부곡의 세대갈등 및 남녀갈등 양상
3. 토지의 세대갈등 및 남녀갈등 양상
4. 나오며
제2장 박경리의 토지와 도스또예프스끼의 죄와 벌 비교 고찰-시공간성(Хронотоп)과 ‘감정경제’에 주목하여
1. 들어가며
2. 사상적 측면-선악에 대한 접근 방식의 차이
3. 미학적 측면-갈등 양상에 나타난 주체 관념
4. 감정적 측면-시공간성과 감정경제
5. 나오며
제3장 소설에 나타난 ‘감정경제’ 정식화(定式化)를 위한 시론(試論)
1. 들어가며
2. 감정의 양적 측면과 시공간성
3. 감정의 질적 측면과 시공간성
4. 나오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