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스퍼드 대학 교수이자 세계적인 경제학자, 빈곤문제 전문가인 폴 콜리어가 현대 사회의 난제 중 하나인 대규모 국제 이주에 관해 입을 열었다. 국제 이주는 워낙 자극적이고 논쟁적인 문제다. 각 국가와 기업들의 이익이 첨예하게 대립하면서 매우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목차
프롤로그
1부 왜 태어난 나라를 떠나는가 1장 이주라는 금기 2장 이주는 왜 가속화되는가 번영을 이루는 네 가지 축 이주의 강력한 동기 디아스포라와 동화율 믿음직한 도구로 보는 이주 이주 가속화에 따른 정책 변화
2부 디아스포라의 두 얼굴 3장 이주의 사회적 결과 상호 배려의 필요성 신뢰와 협력의 관계 이주자의 사회와 문화 이주가 신뢰에 미치는 영향 몇 가지 실제 사례들 평등과 협력을 위한 가치 동화율을 결정하는 힘 디아스포라의 영향력 이주자 혹은 정착민 다문화주의의 의미 동화와 융합의 이점 분리주의가 야기하는 문제 혐오 혹은 신뢰 뭉치면 산다? 4장 이주의 경제적 결과 이주가 임금에 미치는 효과 이주가 공공주택에 미치는 효과 이주자들의 예외적 능력이 갖는 효과 노령화 사회를 살리는 이주 기술 부족을 해결하는 이주 이주가 또 다른 이주를 낳는가 초청 노동자의 경제학 5장 이주 정책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경제적 효과와 사회적 효과의 결합 이주 흐름의 전개 양상
3부 공짜 점심과 소화불량 6장 이주에서 혜택을 얻는 사람들 이주자들이 큰 이득을 얻는 이유 이주로 생긴 이득은 누구의 몫인가 이주는 투자다? 우리를 받아들여달라 고국에 던지는 구명 밧줄 이주의 장애물이 없다면 7장 이주로 손해 보는 사람들
4부 누구를 위한 구명 밧줄인가 8장 정치를 바꾼다 이주와 통치의 관계 이주와 인재 창출의 관계 9장 움직이는 사람과 돈 ‘두뇌 유출’은 타당한 우려인가 직무 동기를 잃다 이동하는 돈, 송금 인구 과잉의 해결책 10장 남아 있는 이들에게 남은 것 원조로서의 이주
5부 행복한 중간지대를 찾아서 11장 국가와 국가주의 영국인을 위한 영국? 공동체인가, 개인인가 국가는 하나의 공동체인가 위협받는 국가 정체성 12장 모두를 위한 최선의 이주 정책 이주를 제한할 권리 이주의 가속화 남겨진 사람들, 행복한 중간지대 유입국의 원주민들에게 이주가 주는 효과 포괄적 정책들 이주는 여기까지? 이주자를 뽑다 피할 수 없으면 포용한다 이주 통제를 빠져나간 사람들 포괄적 정책은 어떻게 움직이는가 경제의 수렴, 사회의 발산
주석 참고 자료
서가브라우징
재외한인 여성공동체 네트워크 = Network of overseas Korean women communities2008 / 김경신 ; 임채완 ; 이선미 ; 김명혜 ; 리단 지음 / 북코리아